인천경제청이 U-City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스마트폰 하나로 각종 업무는 물론 방범과 교통 등 모든 행위를 할 수 있는 시대를 열고 있는 것이다. 작은 스마트폰이면 가고 싶은 곳은 물론 먹을거리와 각종 취미생활도 할 수 있다. 그런데 정작 대다수 시민들은 U-City에 대한 정확한 의미와 활용도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 따라서 본보는 창간 24주년을 맞아 인천경제청이 추진하는 U-City사업과 이에 대한 명쾌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새로운 시대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 U-City는 무엇인가
스마트폰이 우리나라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3년 정도에 불과하다. 지난해 미국의 시장 조사기관인 닐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 내 스마트폰 보급률은 50.4%로 집계됐다. 전세계에 스마트폰이 3억2천만 개가 보급됐다고 닐슨은 집계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떨까. 국내 휴대전화 리서치기관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올 하반기에 스마트폰 보급률이 79%에 이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가히 놀랄 만한 성장이다.

   
 
스마트폰은 흔히 걸어다니는 PC라고도 한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은 PC에 없는 각종 센서(가속센서·카메라·GPS 등)를 통해 무궁무진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을 이용해 도시개발에 적용하는 것이 바로 유비쿼터스다.
이 용어는 마크 바이저 박사가 지난 1996년 발표한 ‘조용한 기술의 미래 시대(The coming age of calm technology)’라는 논문에서 처음 사용했다. 그는 개개인이 수많은 컴퓨터에 둘러싸이는 유비쿼터스 컴퓨터 시대가 올 것이며, 그 시기는 2005년에서 2020년 사이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의 예측은 적중하고 있다.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의미한다. 실례로 우리는 스마트폰을 통해 자유롭게 정보를 주고받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비쿼터스 개념과 도시개발의 개념이 합쳐진 것이 바로 U-City다. U-City는 도시 안에서 언제 어디서든지 도시의 수많은 공간과 사물·사람들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IT기반의 지능화된 도시다. 즉, U-City는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와 지능형 빌딩시스템 ▶지리정보시스템 ▶지능형 교통시스템 ▶광대역통신망 등 첨단 IT기술이 총동원돼 편리한 생활을 가능하게 해 준다. 현재 세계 선진국의 많은 도시는 U-City 건설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 각국의 도시들은 건설 분야에서 경쟁력의 한 축으로 U-City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 인천경제자유구역에서 추진되는 U-City사업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국토해양부를 비롯해 중앙정부가 제도 정비 및 각종 시범사업 등을 통해 U-City 구축사업을 벌이고 있다. 그 가운데 인천경제청은 경제자유구역 송도와 영종·청라·운북 등 4개 지역(총면적 93㎢)에서 U-City사업을 벌이고 있다. 투입되는 사업비는 3천515억 원이며 오는 2020년까지 사업을 마무리짓는다는 계획이다.

   
 

인천경제청은 지난 2009년부터 총 사업비 59억여 원을 들여 송도 5·7공구 일대 6.51㎢ 지역에 U-City 관로사업을 벌이고 있다. 올 연말 완공 예정이다. 이 사업은 통신관로 76.9㎞에 공동구 트레이(5.94㎞) 등과 인공 및 수공이 설치된다. 물론 광케이블 포설사업도 포함돼 있다.
또 송도 1~4공구 일대에 총 사업비 823억2천여 원을 들여 U-City 기반시설 구축사업도 실시설계가 끝나는 대로 조만간 추진할 예정이다. 인천경제청은 이 사업을 통해 자가통신망과 U-City 공공서비스설비, 도시통합관제센터, 통합플랫폼을 구축하게 된다. 완공 시점은 오는 2016년이다.
인천경제청은 이와 함께 영종지구 하늘도시에도 유비쿼터스 도시건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인천도시공사가 각각 719억 원, 308억 원 등 총 1천27억 원이 투입되는 이 일대의 U-City 조성사업은 도시통합운영센터와 U-City 공공서비스 등이 구축된다.
특히 민간투자자가 나타나지 않아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종 미단시티 일대에서 U-City 건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투입되는 사업비는 196억 원이며, 진행되고 있는 사업은 타 지역의 U-City 구축사업과 동일하다. 영종 미단시티 U-City 조성사업은 2014년 상반기 중에 마무리된다.
인천경제청은 이어 청라지구에 총 사업비 683억6천여만 원을 들여 내년 1월까지 U-City 조성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여기에다 국토부 시범사업으로 송도 2·4공구 288만5천㎡ 일대에 U-City 공공서비스(방범·공공주차장 통합 운영·U-홈네트워크 연계·U-Space) 개발 및 구축사업이 벌어지고 있다. 게다가 같은 지역에 방범과 교통흐름 제어 및 U-모바일, 스쿨존 안전보행 개발 및 구축사업도 진행되고 있다. 또 송도 1·2·4공구에도 U-방재시스템과 U-모바일·U-방범·U-인프라 구축사업도 오는 8월에 완공된다. 그야말로 첨단 U-City로 탄생하는

   
 
것이다.

 # 인천U-City㈜ 설립과 역할
인천경제청은 지난 5월 제3섹터 방식의 상법상 주식회사인 인천U-City를 출범시켰다. U-City에 참여한 업체는 인천시와 kcss(KT+시스코), 국내외 및 지역 IT기업이다. 설립 자본금은 35억 원이며 이 중 시는 10억 원을 투입해 전체 지분 중 28.57%를 보유하고 있다.
인천U-City㈜는 앞으로 인천시가 추진하는 U-인프라 사업을 대행하고 아트센터와 미단시티·용유·무의 관광단지 개발 등 단위개발 사업에 U-City 구축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특히 향후 1천640억 원을 들여 인천경제자유구역에 대한 각종 U-City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인천U-City㈜는 타 시·도와는 달리 민관 협력법인이기 때문에 공공 인프라와 민간 인프라가 결합된 통합 인프라를 구축해 개인사업자의 독과점을 막을 수 있다. 민간사업을 통해 U-City 운영에 소요되는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공공서비스의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발생하는 수익금은 공공인프라 구축사업에 재투자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U-City㈜는 도시 전반에 걸쳐 교통과 생활·여가·문화·주거 등 모든 생활과 비즈니스에 공공 및 민간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경제자유구역에서 선두적으로 구축된 U-City 개념을 인천 전 지역에 확대한다는 계획도 가지고 있다.

 # 풀어야 할 숙제
인천경제청은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U-City 구축사업을 집중 추진하고 있다. 중앙정부 역시 경제자유구역을 시범도시로 정하고 사업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있다. 경제자유구역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최첨단 U-서비스를 받을 수 있지만 원도심권 주민들은 이에 대한 혜택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비교적 부유층이 거주하는 지역에는 U-서비스를 받는 셈이다.

   
 

인천경제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와 협력한다는 방안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인천U-City㈜를 운영해 발생하는 수익금을 원도심권에 투입해 U-City를 구축한다고는 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만은 않다. 원도심권에 U-City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시 정보통합센터와 긴밀하고 치밀한 계획이 마련돼야 하지만 현재까지 그러한 움직임은 없다. 더군다나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비는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도 풀어야 할 숙제다. 경제자유구역 중심으로 U-City사업에 치중하면서 원도심권을 돌보지 않는다면 시민들의 반발은 물론 시민들 간의 갈등도 깊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경제자유구역 중심으로 U-City를 조성하고 향후 사업비가 마련되면 시와 협의를 통해 원도심권에 대해서도 U-City를 구축할 것”이라면서도 “사업비 확보와 기술개발이 전제되지 않는 한 당분간 원도심권에 대한 U-City 구축사업은 사실상 어렵다”고 토로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