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현금유동성 위기라는 암흑터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시는 현금유동성 회복을 위해 송도6·8공구 매각에 힘쓰고 있다는 입장이지만 매각이 수월치 않은 데다 세수는 줄고 시교육청에 줘야 할 법정전출금과 학교용지부담금 등 각종 미납금액에 대한 압박도 커지고 있어 사면초가에 몰린 상태다.

시는 30일 요즘 시 잔고가 20여억 원밖에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는 시가 직원 월급을 주기 위해 매월 필요한 296억 원의 10%에도 못 미치는 수치로 지난 4월 직원들에게 지급해야 할 보수를 제때 지급하지 못한 악몽을 떠올릴 수밖에 없는 금액이다.

게다가 송영길 인천시장이 지난 24일 올린 ‘시정일기’에 따르면 지방세수입 감소는 당초 5천억 원에서 7천500억 원까지 갈 것으로 예상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시는 교육청에 줘야 할 법정전출금 1천900여억 원을 비롯해 학교용지부담금 1천150억 원은 물론이고 각종 사업비 마련에도 비상이 걸렸다.

그러나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시가 현금을 마련할 방법도 거의 다 써버렸다는 데 있다.

지방채의 경우 올해 발행하기로 한 6천481억 원 외에 추가로 발행할 수 없다.

일시차입금도 최근 시가 약 3.5%의 이율로 2천430억 원을 빌려옴에 따라 매해 예산 대비 10% 안에서 쓸 수 있는 금액을 모두 다 썼다.

그럼에도 시는 잔고가 20여억 원밖에 남지 않았다고 당장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시 고위 관계자는 “잔고야 각종 세수입으로 언제든지 채워질 수 있고 수시로 빠져 나가기도 하기 때문에 수치에 연연할 필요가 없다”며 “시 안팎으로 제기되고 있는 우려의 목소리는 지나친 걱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시의 입장에도 현재 시가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 감정가가 8천억 원인 것으로 알려진 송도6·8공구 매각 문제의 매듭이 풀리지 않을 경우 시의 재정난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이미 현금 마련을 위한 각종 대안은 모두 취해 더 이상 대책이 없기 때문이다.

박준복 인천시 재정위기 비상대책 범시민협의회 정책위원장은 “결국 시는 직원들 복리후생비 지급을 위한 각종 예산지출을 모두 스톱시킬 것인지, 아니면 시민들을 위한 사업을 계속 진행하지 않고 중단할 것인지, 두 가지 안을 놓고 고민에 빠져 있을 것”이라며 “지방채 발행과 일시차입금 등 최후의 수단까지 다 써버린 시로서는 결국 막다른 골목에 몰린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