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 지역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사회적기업이 조명받고 있다.

일자리를 제공하는 일을 우선으로 하지만 업체를 운영하며, 이윤을 다시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착한기업’을 표방하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반면 지역사회에서 자리를 잡은 지 채 5년이 되지 못했고, 업체 선정에만 열을 올리다 보니 정작 관리·감독이 소홀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민간 분야에서 사회적기업이 안고 있는 문제를 진단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양준호 인천대 사회적기업 연구센터장을 만나 해법을 들어봤다.

양 센터장은 당장 고용노동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사회적기업과 예비사회적기업을 나눠 관리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대다수 실무 공무원과 시민들은 사회적기업과 사회적경제에 대한 이해력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사회적경제라는 틀을 억지로 끼워맞추거나 업체를 선정하는 일에만 열중하다 보니 이원화된 시스템이 더 큰 혼란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영업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곳이 부지기수라는 점이다.

인천에는 현재 38개 사회적기업과 90여 개 예비사회적기업이 있다.

양 센터장은 “사회적기업에 대한 인식·환경 등이 매우 열악한 상황을 고려한다면 내실을 다지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사회적기업 육성센터 등 컨트롤타워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최근 인천시도 ‘사회적경제과’를 신설, 사회적기업 육성과 함께 생활협동조합, 예비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을 관리하는 전담부서를 두기로 했다.

그는 “사회적기업을 관리감독하는 기관이 공무원 조직이나 1~2년 단위로 정부나 지자체 사업에 위탁형식으로 참여하는 비전문 기관이 전부”라며 “사회적기업이 연속성을 갖고 이윤과 사회환원을 창출하도록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또, 그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인천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등 이름만 거창했지 오로지 관심은 사업자 선정 등 연구용역에만 치우치고 있다”며 “공무원 조직에 민간 전문가 투입을 꺼려하거나 1년에 한번씩 입맛대로 바뀌는 위탁운영식 경영컨설턴트를 고집하는 이상 인천시에 ‘사회적경제과’가 생겨도 무용지물”이라고 꼬집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