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감 선거에 출마한 예비후보들이 교육계 원로들과 접촉하고 정책공약 발표에 나서는 등 본격적인 표심 공략에 나서고 있으나 아직은 유권자들의 관심이 부족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교육감 선거에는 보수·진보성향 가릴 것 없이 후보들이 무더기로 출마, 난립하고 있는 가운데 현실과 동떨어진 공약들이 난무하고 있어 유권자들을 혼란에 빠트리고 있다. 후보자들이 당선에만 몰두하다 보니 이런 현상이 확산되고 있는 게 아닌가 싶어 우려되는 현상이다.

교육감 선거는 유권자들의 무관심이 가장 문제다. 후보자가 누구인지 이름도 모른 채 투표장을 찾는 유권자가 많다 보니 로또선거라는 말까지 나온 것이 과거 교육감 선거였다. 또 교육감의 역할에 비해 국민이 느끼는 중요도는 상당히 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초·중등교육에 미치는 교육감의 역할과 비중이 엄청남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가볍게 느끼는 것은 공교육에 대한 학부모나 시민들의 관심이 적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도의 교육을 대표하는 교육감은 실로 교육실무의 최고 권한을 행사하는 중요한 자리이다.

지난 교육감 선거를 돌아보면 보수와 진보의 대립, 정치세력의 대거 참여로 순수한 교육자들이 교육철학과 신념과 양심을 갖고 임하기에는 거리가 있었다.

선거비용을 줄이고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지방선거와 동시에 치르다 보니 관심 저하는 물론, 보수와 진보 간 이념 대결로 순수해야 할 교육선거의 의미마저 퇴색됐다. 이번선거도 지난 선거와 같은 양상이 반복될까 우려된다.

특히 후보자들이 무분별하게 선거자금을 수수했다는 도덕적 비난이 제기되면서 교육감 선거제도의 전면 재검토 요구가 대두되는가 하면 임명제 요구까지 나오는 등 혼탁한 선거였다는 점이다.

우리 교육의 위기는 공교육이 학생들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인기영합주의와 현실을 무시한 경쟁없는 교육 등 교육정책이 너무 쉽게 너무 자주 바뀐 데서 비롯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 교육감 선거 결과에서 보듯이 지방자치단체장과의 갈등, 보수세력과 진보세력 간 이념의 갈등 등 여러 가지 폐해는 많은 국민과 교육계가 공감하고 있다. 이제 더 이상 교육감의 이념과 정책의 상이에 따라 발생하는 학교 현장의 혼란은 종말을 고해야 한다. 교육감 후보자들은 정치인이 아니다.

국가백년대계를 짊어질 동량을 양성하는 교육을 총책임지는 중요한 자리이다. 열심히 민의를 수렴해 향후 4년간 경기교육을 이끌 바람직한 정책을 제시해 주기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