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영준 사회2부
 6·4 지방선거에서 평택시장에 출마한 김선기 새정치민주연합 후보와 우제항 무소속 후보가 사전투표 이틀째인 지난달 31일 오후 전격 기자회견을 열고 후보 단일화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이뤄진 두 후보 간의 단일화는 그들의 정치적 선택이니 만큼 크게 문제 삼을 일은 아니다. 두 후보를 지지했던 유권자들이 그들의 진정성 여부를 판단해 표로 심판하면 될 일이다.
하지만 이번 평택시장 후보 단일화에 있어 김 후보와는 달리 우 후보는 상황이 다르다. 최소한 우 후보가 김 후보와 단일화에 나서려면 평택시민과 유권자들에게 정치적 공통분모를 가시적으로 제시하고 설명하는 절차가 따랐어야 했다.

그는 이번 6·4 지방선거 새정치민주연합 평택시장 후보 경선을 앞두고 김 후보를 두고 “당이 부적격자에 대한 심사도 제대로 하지 않는다”며 탈당해 시민사회 후보임을 내세우며 무소속 출마했기 때문이다.

또한 공약이나 정책이 달라도 너무 다른 두 후보가 단일화에 합의한데도 의문이 간다. 두 후보가 각자 내세운 정책 공약들은 상반된 점이 많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날 후보 단일화 선언과 협약식이 끝난 뒤 기자들이 “질의응답을 하고 가야죠”라고 외쳤지만 “질문을 받지 않겠다”며 기자회견장을 황급히 빠져나가 버린 것도 유권자들을 무시한 행태다.

두 후보의 단일화를 공유하는 가치를 유권자들에게 명확히 보여 주는 과정이 생략된다면 시장직을 유지하기 위해 표를 모으기 위한 ‘제휴’란 비판을 받을 소지가 크다. 자칫하면 ‘야합’했다는 오명을 쓸 수도 있는 일이다.

특히 우 후보를 지지하는 유권자층이 따로 존재하는 만큼 사퇴의 변 정도는 설명하는 절차를 거치는 게 지지자들에 대한 예의일 것이다.
또한 부득이 후보 단일화가 필요했다면 투표용지가 인쇄되기 전에 단일화를 해 유권자들의 혼란을 덜어 줬어야 옳았다.

다시 말하거니와 김·우 두 후보의 단일화는 당사자들의 선택이지만 선거를 불과 4일 앞둔 상태에서 구체적인 설명도 없는 단일화는 시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지방선거는 제대로 된 지역 일꾼을 뽑자는 취지인데, 만에 하나 당선되고 보자는 식의 ‘이면합의’가 시도됐다면 ‘공멸’을 불러올 것이라는 것을 두 후보는 명심해야 한다.

유권자들도 이번 야권 후보 단일화가 그들이 말하는 것처럼 평택시 발전을 위한 단일화인지, 서로의 이익을 위한 야합인지를 선거가 끝난 후에라도 철저히 지켜봐야 하겠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