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춘남 경기복지재단 책임연구원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이미 80대를 훌쩍 넘어섰다.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18년에는 14.3%, 2026년에는 20.8%로 예상하고 있다. 노인인구의 증가는 노인의 건강 약화와 경제적 어려움, 고독과 무위 등 다양한 노인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자살을 가중시키고 있기도 하다.

최근 각각의 전문 분야가 세분화·다양화되고 있으나 대상의 지원에 있어서 개인의 능력에는 한계가 있다. 개개 대상자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목표를 세우기 위해서는 다직종의 전문적인 시점에서 판단을 통합해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직종 개개인의 전문성을 높이고 타 전문가와 전문 부분의 연계(Interprofessional work:IPW)가 중요시 되고 있다.

보건·의료·복지의 실천 현장에 있어서 의료의 고도화와 전문직의 분화를 배경으로 전문지식을 유지하면서 타 전문직에 대해 이해하고 팀으로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에서는 노인복지법 제4조, 제7조에 근거해 노인의 보건 및 복지 증진을 목적으로 한 노인문제 대책으로 1999년 경기도 노인복지상담실로 출발한 ‘경기도노인종합상담센터’, 2009년부터는 노인자살예방사업 추진을 위한 ‘경기도노인자살예방센터’를 지정, 병행 추진하고 있다. 또한 각 지역 내의 홀몸노인 DB 구축을 바탕으로 대상자를 지원하고자 하는 ‘경기도노인종합돌봄센터’ 등을 꼽을 수 있다.

노인의 보건 및 복지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유사 기능의 경기도 자체 센터 산재로 인해 유사 서비스의 단편적 제공, 각 서비스별 수행기관 간 업무 단절로 비효율적인 서비스 전달 등을 지적할 수 있으나 고령화에 동반한 다양한 노년기의 과제는 전문적인 시각에서의 다양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는 것 또한 간과할 수 없는 현실이기도 하다.

경기복지재단의 ‘경기도 노인지원서비스 기관의 합리화 방안연구(2014)’ 보고서에 따르면 홀몸노인을 지원하는 유사한 센터가 산재함에 따라 각 센터의 기능을 명확히 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경기도 자체 노인지원서비스 기관의 현황 분석에 따른 각 센터의 현안과제와 발전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경기도노인종합상담센터는 법적 운영 기반의 마련, 예산 확충, 노인자살예방센터 및 노인돌봄센터 사업 지정에 따른 과제로 센터 기능의 명확화와 시스템을 구축해 노인상담인력의 전문성 강화로서 공공성이 확보된 센터가 돼야 한다.

노인자살예방센터는 인력 및 예산 부족, 위기사례 대응 및 처리에 대한 자문기관의 필요성, 도 차원에서 센터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며 기존 인프라의 지원 및 확충으로서 각 센터의 특성화가 요구된다.

특히 올해 시작된 경기도노인종합돌봄센터는 무엇보다 센터의 기능 명확화와 공공성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무한돌봄, 복지관, 민간단체 등 홀몸노인을 관리하는 유사한 단체가 많이 있는 상태에서 돌봄센터가 단순히 중복 수혜를 방지하기 위한 서비스 조정자의 역할만 할 것인지, 아니면 홀몸노인 전반에 관한 부분을 관리할 것인지를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성공적인 사례에는 반드시 중·장기 비전을 기본으로 한 공공분야의 강력한 리더십과 지원이 동반된다. 중단 없는 계속적인 지원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각 센터의 공공성 확보가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경기도 노인지원서비스 기관인 각 센터의 특성화를 반영한 체제 개선과 더불어 현실의 복합적인 노인 문제를 각 전문기관 간 연계와 다직종 간 협업(IPW)을 통해 차근차근히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이 경기도 노인지원서비스 기관의 능률적인 체제로 개선함에 있어 해법의 실마리가 되길 기대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