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OECD 회원국 가운데 자살률 10년 연속 1위라는 불명예를 차지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3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자살로 사망한 사람은 1만4천427명으로 하루 평균 39.5명꼴이다. 매일 전국에서 40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자신의 생명을 스스로 끊었다는 얘기다.

또 ‘자살 증가율도 세계 2위’에 올라 있다. 오늘의 우리 현실은 겉보기로는 세계 경제 10위권 등 화려해 보이지만, 이면에는 자살공화국이라는 오명을 쓰고 힘들게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는 국민들의 고달픈 삶이 있다는 방증이다.

국가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자살을 미연에 방지하고 생명존중문화 풍토를 조성하는 일에 정부가 나서야 한다.

지난해 남성 자살 사망자가 여성 자살 사망자의 두 배 이상 많았으며, 한창 경제활동을 할 나이인 30대와 40대, 50대의 자살률이 모두 증가했음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경기 침체로 인한 실직, 가계수입 감소 등 경제적 이유가 작용한 탓이 아닌가 싶다. 또 노인층과 10대, 20대의 자살은 여전히 이 연령층의 가장 높은 사망 원인이었다. 입시와 취업 경쟁에서 고통받거나, 더는 기댈 곳이 없는 노인 자살이 심각한 수준에 와 있는 것이다.

이처럼 높은 자살률은 소득수준과 국가 경제력이 높다고 해서 모든 사람들이 행복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 사회 구석구석 어느 한 곳 빼지 않고 지나친 경쟁구도 속에서 생존해 내야 하는 오늘의 각박한 현실이 유독 높은 자살률로 나타났다고 봐야 할 것이다.

자살은 자살자 한 사람에 그치지 않고 주변에 끼치는 파급력이 더 크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 자살사망자 유족들은 정신적으로 심각한 고통을 겪을 뿐만 아니라, 잇따른 자살 충동을 느끼는 일까지 발생해 일반인들보다 자살 가능성이 훨씬 높아진다고 한다.

이제는 자살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벗어나야 한다. 자살의 원인은 자살 사망자마다 제각각이지만 깊은 소외감, 우울증 등을 거치는 과정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살 충동을 느끼는 사람의 말을 충실하게 들어주는 사람만 있어도 자살은 줄어든다고 한다.

이제 우리도 캠페인성 정책에만 매달릴 게 아니라 실질적인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루빨리 선진 자살 예방 시스템을 도입·시행하고, 각계각층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자살은 사회의 건강성을 나타내는 척도라고 할 수 있다. 자살 예방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특단의 대책 마련을 촉구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