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창구 에너지관리공단 인천지역본부장

 우리나라는 부존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96%에 이를 정도로 국가안보 차원에서 에너지 문제를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상황이다.

 2012년 자동차, 반도체, 선박 등의 수출액은 1천374억 달러인 데 비해 에너지 수입액은 1천848억 달러로 국민경제에 크게 부담이 되지 않을 수 없다.

또 최근 에너지소비는 세계 10위, 석유소비는 세계 9위를 차지할 정도로 에너지소비증가율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산업구조에서 석유, 화학, 철강 등 에너지다소비 업종이 주종을 이뤄 에너지소비 증가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도 함께 증가할 수밖에 없는 산업생태 구조가 문제다.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2035년까지 11%로 끌어올린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바탕으로 크게 성장해 2012년 시장 규모는 2007년 대비 5배 이상 성장, 6조4천억 원에 이르렀다.

 하지만 2012년 기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OECD 국가 중 34위로 1차에너지 대비 3.18%에 불과하다. 신재생에너지가 정상적인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에 보급되기보다는 정부 정책에 크게 의존한 결과다.

최근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태 이후 원자력의 안전성 문제가 부각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또 일자리 창출, 온실가스 감축, 경제 회복의 핵심 수단으로서 세계적으로 신성장 동력 산업에 대한 시장 선점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에너지자립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신성장 산업으로서 그 규모가 급격히 팽창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인천시의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은 어떠한가? 인천시의 1차에너지 중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공급비중은 2009년 1.31%, 2010년 1.45%, 2011년 1.28%로 우리나라 평균인 2.74%에 비해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평균에도 훨씬 못 미치고 있다. 또 현재까지는 내세울 만한 변변한 신재생에너지 산업체도 없는 것이 사실이다. 안타까운 일이다.

최근 들어 인천지역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결성된 ‘인천햇빛발전협동조합’이 시민들의 출자와 함께 출범해 제1호 햇빛발전소를 주안도서관 건물에 지난 4월 완공했다.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제도의 태양광 판매사업자에 선정된 햇빛발전소는 발전량을 판매해 벌어들인 수익금을 출자자 배당과 발전소 운영비, 기타 에너지빈곤층 지원에 쓰겠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린다.

사업의 수익금이 다수의 시민들에게 돌아가는 바람직한 사업모델도 좋고,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실질적인 모범 사례다. 향후 태양광 별도 의무공급량을 감안해 제2·3호의 시민햇빛발전소가 건립되기를 기대해 본다.

시민햇빛발전소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시민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이었다면 인천시 주도의 에코아일랜드 사업도 주목할 만하다.

옹진군 덕적도 인근 도서 전체의 에너지수요를 100% 청정에너지인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풍부한 일조량과 빠른 조수 등 지역의 환경적인 특성을 살려 태양광, 풍력, 에너지저장장치(ESS)뿐만 아니라 바이오, 조류발전까지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도 울릉도를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으로 만들고자 태양광, 풍력, 에너지저장장치, 연료전지,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기술 도입을 추진 중이다.

 울릉도가 정부 차원에서 추진 중인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이라면 덕적도는 인천시 주도의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인 것이다.

 이 사업들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도서지역 에너지 자립의 새로운 모델이 세워진다. 에너지 자립 성공모델로서 국내는 물론 해외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