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후학교 운영이 학교 당국의 관심 소홀로 부실 운영 등 각종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방과후학교 운영은 지속적으로 교과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특성화 있는 프로그램 개설 등을 통해 교육수요자를 공교육으로 끌어들일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학력 신장에 기여함은 물론이고 돌봄 프로그램 및 특기·적성 프로그램 확대 운영, 수준별 교과 프로그램 운영 등 선택의 폭을 증가시켜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어야 사교육비 경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한국소비자원이 전국의 초등학생 학부모 3천 명을 조사한 결과 자녀 1명당 월평균 37만 원을 사교육비로 지출한다고 답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평균 41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인천이 높았다.

이처럼 높은 사교육비를 잠재우려면 사교육 수요를 공교육으로 흡수해야 하나 아직 학교 역할이 미흡하다. 공교육이 살아나려면 학생들이 학교에 오래 머물러 있어야 한다.

정규수업이 끝나도 공부하는 학생, 운동하는 학생, 실험이나 창작활동에 몰두하는 학생들로 학교가 활기가 넘쳐나야 하나 학교 수업이 끝나자마자 바로 교사와 학생들이 학교를 떠나는 현실에서 나머지 시간을 메우기 위해서라도 사교육을 찾기 마련이다.

방과후학교가 시행된 초기에는 사교육비 경감과 소득격차에 따른 교육격차를 줄이는 데 어느 정도 성과를 보이며 좋은 정책으로 자리를 잡은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성공적인 정책이다 보니 방과후학교는 확대됐고, 이에 따른 콘텐츠 개발과 강사 수급은 고스란히 학교와 교사의 업무 과중으로 연결됐다.

그러다 보니 학교장 중심의 운영에서 벗어나 외부 위탁업체가 그 역할을 대신하기에 이르렀고, 이들 위탁업체들은 콘텐츠 개발이나 강사 양성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런 노력 없이도 얼마든지 강사들을 흔들고 돈을 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좋은 결실을 맺으려면 그만큼 행정 지원도 따라줘야 하지만 교육당국은 이에 소홀했다. 방과후학교 부실의 문제는 구조적·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사안이다. 학교장의 유착이나 비리 문제가 아니다.

학교에서 학생과 학부모가 만족하는 다양하고 질 높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함으로써 성공적인 공교육을 만들어 가야 한다.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인적·물적 자원 활용으로 학교의 역할 강화와 방과후학교의 신뢰도와 만족도를 향상시켜 공교육 강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의 선순환 체제 구축에 나서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