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지역에서 발생하는 각종 쓰레기를 처리하는 수도권매립지가 대중적인 레저 및 휴식공간은 물론 화훼단지, 생태·체육공원으로 탈바꿈할 꿈을 키워가고 있다.
 
지난 2000년 7월22일 공사로 설립된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사장 박대문).
 
출번 4년째를 맞고 있는 공사측은 “매립지를 `드림파크'로!”라는 원대한 구상을 지역에 공포했다. 이에 따라 본보는 수도권매립지 탄생 배경과 함께 공단 설립이후 그동안 지역주민들과 함께 해온 3년간의 활동, 2010년 미래의 모습 등에 대해 3회에 걸쳐 집중 취재했다.〈편집자 주〉


〈글싣는 순서〉
 (상) 수도권매립지 탄생
 (중) 수도권매립지 과제
 (하) 드림파크의 꿈

(상) 수도권매립지 탄생

 
인천시 서구 백석동에 위치한 수도권매립지는 1985년 1월 서울시의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 사용이 종료될 때를 대비해 쓰레기처리대책을 수립하라는 대통령의 지시가 내려지면서 부상됐다.
 
정부는 87년 9월 수도권매립지 확보계획을 대통령 재가를 받아 확정한 뒤 89년 2월 환경청과 서울을 비롯한 인천·경기 등 지방자치단체가 `김포매립지 건설 및 운영사업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다.
 
수도권 지역의 쓰레기 처리를 위해서 해안 간척지인 서구 백석동에 새로운 광역 매립장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어 3개 시·도 공동으로 1991년 11월7일 수도권매립지 운영관리조합을 설립하고 그 다음해인 1992년 2월10일부터 폐기물을 처음으로 반입했다.
 
초기에는 위생처리 없이 쓰레기를 단순매립함으로써 악취와 먼지 그리고 소음 등이 심하게 발생함에 따라 인근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발과 저항에 부딪혀 사업실행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또 인근지역 주민들은 `수도권매립지주민대책위' 등을 결성하고 주민 권익보호에 적극 나서면서 대책위와 잦은 마찰 시비로 초기에는 하루도 편할 날이 없을 정도였다.
 
이때만 해도 주민대책위의 힘이 현행 법위에 있었다는 의미로 `검단법'이라는 말이 공공연히 나돌기도 했다.
 
당시 중요한 문제 사안을 다루는 주민대책위 회의가 있는 날이면 3개 시·도 단체장은 물론 환경부장관까지 찾을 정도였으니 `검단법'의 위력을 실로 실감할 수 있었다.
 
이에 환경부는 수도권의 쓰레기 처리는 지방자치단체를 넘어 국가가 직접 나서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하고 2000년 1월21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제정, 마침내 2000년 7월22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를 설립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설립된 공사는 출범시부터 매립지를 장차 `드림파크'로 조성한다는 원대한 구상을 내걸었다.
 
한마디로 폐기물의 자원화로 최고의 환경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