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인간의 취락사회는 농촌이었고 도시사회는 생산력의 발전에 의한 잉여생산물의 산출에 의해 처음으로 성립했다.

생산력의 발전과 상품경제의 진전에 따라 도시와 농촌의 관계 및 농촌사회의 성격이 역사적으로 서서히 변화해 왔으며, 특히 자본주의경제의 성립과 발전은 농촌의 자급자족경제를 붕괴시키고 다량의 노동력 유출을 촉진시켰다.

그로 인해 부(富)가 도시로 집중되고 선진 자본주의 국가에서 도시의 과밀(過密)과 농촌의 과소(過疎)라는 불균형이 발생했다. 특히 농촌으로부터 대량의 청년 노동력이 유출, 농촌인구의 노령화나 과소현상이 야기됨으로써 겸업농가가 증가하는 등 농촌의 기반이 변해 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변하지 않고 있는 것은 농촌경제는 농업의 성질상 자급자족적인 측면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요즘 귀농·귀촌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40대 이하 젊은 세대의 증가 폭이 눈에 띄고 있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가구는 전년 3만3천424가구에서 무려 37.5% 증가한 4만4천586가구로 집계됐다. 귀촌가구는 3만3천442가구로 전년에 비해 약 1만2천 가구가 늘었으며, 연령별로는 40대 이하가 62.6%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도시로의 복귀는 1.9%로 나타났다. 사유는 농업노동의 어려움, 지역주민과의 갈등, 외로움, 고립감, 자녀 교육 등이다.

수도권 인접 지역에 집중됐던 귀농·귀촌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비교적 젊은 연령층이 가세하면서 귀농·귀촌 동기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은퇴 후 여생을 위한 경기도권 중심에서 경제활동, 자연친화적 삶, 자녀 교육 등에 적합한 지역으로 귀농·귀촌지가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 같은 귀농·귀촌가구의 확산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각종 저해 규제를 완화하고 기존 귀농인에서 귀촌인 위주로 정책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40대 이하 귀촌인의 정착을 촉진할 정주 여건 개선, 일자리 연계에 초점을 둔다는 계획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들이 농촌에 제대로 정착하도록 철저한 준비를 위한 맞춤형 교육과 지역주민들과 융합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사업이 필요할 때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