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1주기가 어느덧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세월호 참사 이후 우리 사회의 공통 관심사는 ‘안전’이다. 그동안 얼마나 국민 안전을 등한시했는지, 공동체 곳곳에 위험요소가 얼마나 많이 상존해 있는지 우리 모두가 자각했다.

그러나 요즘도 크고 작은 인재가 끊임없이 발생하는 등 안전불감증이 사라지지 않고 있어 세월호 참사의 교훈이 잊혀져 가고 있는 건 아닌지 우려스럽다.

최근 한 여론조사 전문업체가 발표한 ‘안전불감증’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국민 10명 가운데 6명은 정부의 ‘안전불감증’이 세월호 참사 전이나 후나 크게 달라진 게 없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의 안전의식이 변화했는가’라는 질문에 ‘아니다’가 60.1%, ‘그렇다’가 33.9%로 집계됐으며 ‘개인의 안전의식 변화’ 조사에서는 ‘그렇다’가 51.5%, ‘아니다’가 42.6%로 조사됐다.

국가의 안전의식과 개인의 안전의식 변화의 정도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아직도 전반적인 안전불감증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대표적인 사례를 보면 세월호 사고 후 6개월이 지난 지난해 10월 17일 오후 판교테크노밸리 야외광장에서 열린 ‘제1회 판교테크노밸리축제’ 도중 인기 가수 축하공연을 관람하던 시민 27명이 환풍기 덮개 붕괴로 20m 아래로 추락, 16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을 당한 사고다.

지난 2월 11일 인천 영종대교에서 발생한 106중 추돌사고 역시 10m 앞도 제대로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안개가 짙게 낀 상황에서 운전자들이 속도를 줄이지 않아 발생했다.

또 신축 중이던 서울 사당종합체육관 천장 일부가 무너져 인부 11명이 매몰됐다가 구조되는 사고, 의정부 대봉그린아파트 화재, 양주 GS자이아파트 화재, 장성 요양병원 화재, 고양 버스종합터미널 화재, 강화캠핑장 텐트 화재 등도 안전불감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세월호 사고 1주기를 앞두고 희생자 가족들은 이 같은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이 사라지고 안전이 뿌리내리는 길이 희생자들의 죽음을 의롭게 승화시키는 것이라고 한다. 정부와 국민들은 ‘안전한 대한민국 건설’을 위해 지난 1년 전 세월호 사고가 남긴 교훈을 절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