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월 16일. 그 후 1년이 흘렀다. 304명의 단원고 학생과 일반인 희생자들이 차가운 바다에서 실종 또는 목숨을 잃은 날이다.

온 나라를 충격과 슬픔으로 뒤덮었던 참사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났건만, 우리 사회는 여전히 진실 규명은 고사하고 아무것도 바뀐 것이 없다. 오히려 야속하게도 그날의 참담한 기억은 잊혀지지 않고 있다.

아비규환 속에서 살아온 세월호 생존자와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유가족, 그리고 온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고통으로 각인될 뿐이다.

아직도 세월호 문제는 끝나지 않고 있다. 사고 수습 과정에서 정부는 우왕좌왕했고 우리 사회는 ‘세월호 특별법’ 논란에 오랫동안 진통을 겪고 있다.

 참사가 왜 일어났는지 원인을 규명하며 책임소재를 따지고 재발 방지를 위한 세월호 특별법은 여전히 가동을 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한 일이라고는 겨우 세월호를 버렸던 이준석 선장 등 선원 15명을 살인 혐의 등으로 구속 기소한 것뿐이다. 일각에서는 높아지는 국민들의 피로도를 우려하나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해결해야 마땅한 일이다.

참사가 발생한 지 1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지만 당시 사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보더라도 대다수 국민이 진상 규명과 선체 인양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여전히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 이후 현재까지 정부의 대응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가 지배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참사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책임자 문책과 대책 수립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이와 같은 사고는 언제든 다시 일어날 것이다.

따라서 희생자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게 참사 없는 사회, 아픔과 슬픔이 없는 밝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잘못된 제도를 재정비하고 안전불감증에 빠진 의식구조를 개선하는 데 역량을 모아야 할 것이다.

국민을 보호하는 일은 국가의 당연한 책무다. 생때같은 수백 명의 고귀한 생명들의 죽음을 막지 못한 것은 단연코 국가의 책임이다. 진정한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특히 참사 1주기를 맞는 가족들의 마음에는 진상조차 규명되지 않은 죽음과 구조할 수 있었다는 자책으로 분노와 슬픔이 더 클 수밖에 없다.

우리 사회 전체가 함께 진심으로 희생자를 애도하고 피해자들의 고통과 슬픔을 함께 나눠야 한다. 또한 정부와 우리 국민 모두는 뼈아픈 반성과 함께 안전제일주의 사회가 실현됐는지, 세월호의 아픔을 잊은 건 아닌지 다시 한 번 되돌아봐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