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과거 소극적이던 모습에서 벗어나 핀테크와 인터넷 전문은행 육성을 위해 적극 나섰다고 한다. 관련 규제를 풀고 기업들의 진출을 장려하는 데 주저함이 없다.

이런 금융 개혁은 다소 늦었다는 지적이 있을 정도로 필요성에는 대부분 공감하는 분위기다. 금융과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하면 낙후된 금융산업에 새바람을 불어넣어 획기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이것이 핀테크이며, 그 핵심 영역이 인터넷 전문은행이다.

인터넷 전문은행은 말 그대로 영업점 없이 인터넷과 모바일로만 영업하는 은행을 뜻한다. 지점 개설·유지에 드는 비용을 없애 은행과 고객이 이윤을 더 챙길 수 있다. 송금·계좌조회 등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중은행의 ‘인터넷뱅킹’과는 다른 개념이다.

한국에선 아직 생소하게 들리지만 일본·중국·미국 등에서는 이미 넓은 시장이 형성돼 있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인터넷 전문은행이 해외에서는 각광받았을지라도 국내 사정은 다르다는 지적이다. 까다로운 규제가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의 발목을 잡고 있는데다, 국내 은행산업 구조도 저성장·저금리로 수익성이 약하다는 데 있다.

게다가 이미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뱅킹을 쓸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고, 미국과 달리 오프라인 점포 접근성도 높다.

고객 성향도 편리성보다는 금융사고에 민감해 인터넷 전문은행이 신뢰를 받기 쉽지 않다는 점도 문제다. 더불어 핀테크 시대의 핵심은 시스템 통합이 아니라 스스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능력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미 2000년대 초반 몇몇 대기업과 벤처기업이 의기투합해 인터넷 전문은행 브이뱅크 설립을 추진한 바 있다.

하지만 대면을 통한 본인 확인이 필수적인 금융실명제 아래에서는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 시도는 좌초될 수밖에 없었다.

2008년에는 법 개정을 통한 시도가 있었지만 국회의 벽을 넘지 못했다. 이번에는 과연 성공할 수 있을지 관건이다.

가장 발 빠르게 경기도는 남경필 지사가 공약으로 내건 인터넷 전문은행 ‘아이뱅크(I-Bank)’ 설립을 위해 움직이고 있다.

 경기도는 시·군과 경기도상공회의소, 도내 기업, 도민, 제휴 핀테크 기업, 해외 제휴기업 등과 손잡고 1천억~2천억 원 규모의 재원을 마련, 내년 7월 출범을 목표로 삼고 있다. 종래 정부의 금융선진화 노력이 번번이 실패했던 점은 부작용을 우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인터넷 전문은행은 은행권에 긴장감을 불어넣기에 충분하다. 부작용만 생각하면 혁신은 불가능하다. 정부와 국회는 열린 마음으로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을 허용하기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