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기호일보 DB

인천시가 민선6기 유정복호(號)의 출범 1주년 성과 보고를 앞두고 고민에 빠졌다. 오는 7월부터 유 시장의 취임 1주년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각 실·국에서는 당장 1주년 성과 보고를 위한 자료 준비에 들어갔지만, 현재까지 대부분의 사업에서 뚜렷한 결실이 나타나지 않아 무엇을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난감하기 때문이다.

유정복 시장은 지난해 12월 민선6기 공약을 최종 확정하고 지역 현안사업의 추진 방향 등을 담은 5대 가치, 18대 정책, 131개 과제를 발표한 데 이어 올해 초에는 2015년을 시 재정건전화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자체 수입 증대 방안을 모색해 재정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수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굵직한 현안의 해결은 물론 재정건전화를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지역의 대표 현안으로 꼽히는 루원시티 개발사업의 경우 시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지난 4월 사업 정상화에 합의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지만, 인근 지역보다 5배 이상에 달하는 조성원가에 대한 해결 방안은 아직까지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제3연륙교 건설사업은 인천대교·영종대교에 보전해 줘야 할 손실보전금 문제로 수년째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지난해 중국 자본 유치가 무산돼 애물단지로 전락한 서구 로봇랜드 조성사업의 경우 시는 정상화 방안으로 아파트 등을 짓는다는 방침이지만 본래 사업 목적을 담지 못할 뿐더러 성공 가능성도 두고 봐야 한다는 여론이다.

수도권매립지 현안 역시 지난해 말 환경부와 수도권 3개 시·도 기관장들이 모여 선제적 조치에 합의한 이후 당장이라도 해결될 것처럼 비춰졌으나 환경부의 30년 기간 연장과 서울시의 매립면허권 인천시 이양 문제가 해법을 찾지 못하면서 아직도 오리무중이다.

그나마 송도 6·8공구의 9천억여 원 토지리턴을 막은 것과 정부의 제3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되는 경인고속도로 지하화가 성과라고 볼 수 있는 현안이다.

하지만 송도 6·8공구 내 일부 필지의 경우 아직 토지리턴 여지가 남아 있고,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역시 시민들이 부담해야 할 통행료가 3천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완전한 현안 해결로 보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시 관계자는 “취임 1년 성과 보고를 준비하면서 ‘된 것도, 안 된 것도 없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며 “수치상으로나 뚜렷하게 나타날 만한 성과들이 없어 어떤 내용을 준비해야 할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