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기호일보 DB

인천시가 ‘사면초가’에 빠졌다.

인천지역 야권이 한목소리로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서울시의 대체매립지 조성을 전제로 한 한시적 연장을 인천시에 촉구하는 반면, 환경부와 서울시는 4자 협의체에서 제안한 30년 연장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어 안팎에서 압력을 받고 있는 인천시는 해법 찾기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특히 야권의 압박도 힘겨운 상황인데 같은 당의 서구지역 국회의원인 이학재·안상수 의원까지 가세해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촉구하고 나서면서 인천시는 사면초가에 몰린 형국이다.

시는 최근 시민협의회 등을 거쳐 연장 쪽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구체적으로 언제까지 어떻게 연장할지는 가닥을 잡지 못하고 있다.

내부에서는 7년가량 사용이 가능한 제3매립장 1공구만 사용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시적인 연장을 통해 서울시와 경기도 등에 대체매립지를 조성할 시간을 준 후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완전 종료한다는 방안으로 시민을 설득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30년 연장을 주장하는 서울시가 인천시의 이 같은 제안을 순순히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4자 협의체의 합의정신에 따라 인천시의 요구를 받아들여도 매립면허권의 인천시 이양을 심의하게 될 서울시의회가 부결시킬 것이 뻔한 상황이다. 유정복 시장과 같은 새누리당 소속 시의원들이 많더라도 당 보다는 지역 이익을 우선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서울시 등이 요구하는 30년 연장안도 받아들일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 25년간 3개 시·도의 쓰레기를 매립하면서 감수했던 주민들의 고통을 30년 더 참으라고 설득하기도 어려운데다 사실상 매립지 영구화의 길을 터주는 악수(惡手)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여기에 인천시가 제3매립지에 대한 매립 승인을 하지 않더라도 서울시가 행정소송을 진행하면 막을 방법도 없어 시간만 끄는 전략은 해법이 될 수 없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따라서 유정복 시장에게 현 상황은 적지 않은 정치적, 행정적 부담이 되고 있다.

시의 한 관계자는 “인천과 서울이 주장하는 요구사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도 나머지 지자체에는 큰 타격이 될 수 있다”며 “제3매립장의 절대공기가 29개월 정도 되는 상황에서 결정이 늦어지면 쓰레기 대란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