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연평해전’은 월드컵의 열기로 뜨거웠던 2002년 6월에 발생했다. 그것은 북한이 제1차 연평해전의 패배에 대하여 도발을 해올 것이라는 위협이 현실화 한 것이다. 당시 2002년 월드컵 열기에도 해군장병은 흔들림 없이 임무에 충실하며, 북한의 도발에 대비하고 있었다.

‘연평해전’의 참수리 357호 대원들도 실전을 방불케 하는 고된 훈련 속에 서로를 의지하며 뜨거운 전우애로 뭉쳐있었다. 무더운 여름과 함께 월드컵의 함성이 뜨거워지는 가운데, 한국과 터키의 3, 4위전 경기가 열리던 6월 29일 10시 25분, 서해 연평도 근해 NNL에서 북괴해군의 기습사격도발에 의해 치열한 총성이 울린다. 이에 대항하여 투혼으로 맞서 싸운 해군장병의 전투를 영화화하여 지난 6월 24일 개봉한 것이다.

제작과정에서 제작비 지원을 받지 못하는 중단사태가 발생하여 해군당국의 지원과 일반국민의 모금참여로 제작비를 충당하는 어려움 가운데 완성된 작품이었기에 더 의미가 있다.

통상 한국영화가에서 북한을 적(敵)과 악(惡)으로 다룬 ‘반북(反北)영화’가 흥행의 성공을 거둔다는 것이 생각보다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영화감독들이 나서기를 꺼려하는 금기가 있다.

영화배우 차인표가 출연한 북한의 불법무도함과 탈북민의 처참함을 고발하는 ‘알바트로스(1996)’ , ‘한반도(2006)’, ‘크로싱(2008)’ 등이 흥행에 모두 실패하였다.

반면에 ‘친북성향의 영화’들은 줄줄이 흥행몰이를 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과거 이병헌이 출연하여 북한군을 인간적으로 미화되며 국민의 정신을 무장해제시킨 ‘공동경비구역 JSA(2000)’과 한국전쟁에 참전한 형제의 비극을 주제로 무모한 전쟁을 했을 뿐이라는 반전주의를 심어준 ‘태극기 휘날리며(2004)’는 영화사를 다시 쓸 만큼의 흥행을 기록했다.

 그리고 ‘웰 컴 투 동막골(2005)’은 남북한 병사간 화해를 주제로 북한은 동족이라는 연민을 자극하고, 미공군 조종사의 무자비한 폭격장면을 통하여 반미선동성을 부각하면서 흥행에 성공하였다.

그리고 ‘고지전(2011)’은 한국전쟁 당시 고지탈환전투를 중심으로 남한군의 부패상과 비인간성을 부각하고, 북한군의 인간적인 면을 그리면서 고지전에 투입된 장병의 희생을 헛된 것에 불과하다는 허무주의적 전쟁시각으로 한국전쟁을 폄훼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영화는 작품으로 역사에 기록되고 남겨져서 그 영향력을 발휘하는 문화의 힘이다. 이 힘은 비록 픽션(fiction)이지만 영상화되면서 사실(fact)로 둔갑되어 그 어떤 증언보다도 강력한 설득력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번에 ‘연평해전’은 반북영화가 1996년 ‘알바트로스’ 이래로 20여년만에 처음으로 흥행하는 영화사에 획기적인 사건이라는 점에서도 기억될 것이다.

 특히 20~30대 여성관객들이 60% 가까이 관람을 한다하니 사회적으로 애국심의 열기가 기대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평해전’의 영화적 흥행으로 가려져서는 안될 진실이 있다. 이 전투가 북한해군의 ‘계획적 도발’이라는 것을 군 수뇌부가 사전에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전투현장의 해군장병들에게 당연히 대비강화지시가 있어야 했던 것이다.

당시 군의 대북감청부대(5679부대)가 사건발생 2주일여 전인 6월 13일과 교전 2일전에도 “발포명령만 내리면 발포하겠다”는 북 경비정과 해군부대 간 교신을 감청분석해 군 상부에 보고했다.

 정치권의 눈치를 보던 군 수뇌부가 북경비정이 노골적으로 남하하는데도 남북간 긴장관리를 잘하라는 식의 안일한 대응을 지시했으며, 도발징후정보를 묵살한 행위는 결과적으로 고귀한 장병 6명이 희생을 자초한 것으로 재정리할 수 있다.

이 사건은 당시에도 석연치 않은 문제가 있었던 것은 국지도발에 대한 평시 작전통제권을 가지고 있는 합동참모본부가 즉각적인 대응전투를 회피하여 결과적으로 반격도 제대로 못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 사건의 내막에 군수뇌부의 결정적인 대북정보묵살과 직무유기가 있었다는 것은 과거지사로 구렁이 담 넘어 가듯이 넘어갈 것은 아니라는 시각이 있다. 지금 합참의장은 당시 해군작전사령부 작전처장(2000.1~2003.1)이었는데 책임이 없었을까?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