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청소년 인구 중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이 29.2%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 위험군은 줄어들고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이 급증하고 있는 만큼 정부의 정보화역기능대처사업도 스마트폰 중독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다.

2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문병호(새정치·인천부평갑)의원이 미래부로부터 제출받은 ‘2014년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조사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중독 위험군은 2011년 전체 인구의 7.7%에서 2014년 6.9%로 소폭 감소한 반면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은 2011년 8.4%에서 2014년 14.2%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스마트폰 중독 위험에 빠진 청소년이 날로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인구 중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비중은 2011년 11.4%에서 2014년 29.2%로 17.8%나 급증했다.

청소년층의 인터넷 중독 위험군은 2011년 10.4%에서 2014년 12.5%로 2.1% 증가에 그쳤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 지난해 미래부가 한국정보화진흥원에 위탁해 집행한 총 57억 7천800 만원의 ‘정보화역기능대응사업’ 실적을 보면 인터넷중독 예방 및 교육에 48억 2천800만 원(83.6%)이 쓰였고 스마트폰중독 예방 및 교육에는 9억 5천만 원(16.4%)에 그쳤다.

이에 대해 문 의원은 “현실은 빠르게 변해 인터넷중독보다 스마트폰중독이 늘어나고 있는데도 정부의 대응은 여전히 인터넷중독 대응사업에 집중되어 있다”고 지적하고 “미래부와 정보화진흥원은 정보화역기능대응사업을 인터넷에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스마트기기 중독대응 중심으로 대폭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