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호일보 DB

4천억 원의 혈세가 들어간 인천국제공항 자기부상열차 시범사업이 ‘흉물’로 방치될 위기에 처했다. 지난달 사업 기간이 만료됐지만 여전히 안전문제에 대한 의구심으로 개통 시기는 깜깜하다.

2일 인천국제공항공사(이하 공사)와 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단 등에 따르면 정부는 자기부상열차 상용화를 위해 2006년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를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이후 인천공항 내에 6.1㎞의 시범 구간을 건설해 자기부상열차가 시속 110㎞를 낼 수 있도록 개발됐다. 당시 시범 노선에는 국·시비와 공사 예산 등 총 4천145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하지만 수년 동안 추진한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사업 기간이 만료됐는데도 아직 개통 시기를 못 잡고 있다.
인천시가 ‘수도권신공항건설 촉진법’에 따라 서울지방항공청에 준공 신청을 해야 하지만 못하고 있다. 안전문제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와 공사는 최근까지 열차가 주저앉는 ‘차량 부상착지 현상’과 ‘전원공급 차단’ 등에서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라고 보고, 국토교통부에 지난달 26일 사업 기간 연장을 신청했다. 반면, 시범 사업을 추진한 한국기계연구원 등 실용화사업단은 개통을 위한 모든 조치가 끝났다고 판단해 지난달 30일 ‘시범 노선 건설 공사 완료 보고’까지 마쳤다.

문제는 국토부가 사업 기간 연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시 역시 준공 신청을 하지 않을 경우다. 이렇게 되면 자기부상열차 시범 사업은 자칫 장기 미집행 사업으로 남을 수 있다.

현재 시범 사업을 추진한 사업단은 완료보고서를 제출하고 이미 손을 털고 나간 상태다. 안전문제를 해결해야 할 기술진이 없다는 얘기다. 이런 상황에서 시와 공사는 시민 안전과 직결된 문제의 보완 없이는 준공 신청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준공을 하지 못하면 개통도 안 된다. 결국 미래 교통수단으로 만들겠다는 국책 사업인 자기부상열차가 흉물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다.

시 관계자는 “설계도와 시방서대로 사업이 건설되지 않았는데 누가 사업에 대한 준공 신청을 할 수 있느냐”며 “비도 맞아보고 강한 바람 앞에서 자기부상열차를 운행하면서 충분한 안전 검증을 해야만 준공 신청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실용화사업단 관계자는 “그동안 발생했던 문제는 가상실험을 통해 모두 완료했다”며 “나머지는 실제 운영을 통해 충분히 보완할 수 있는 문제로, 시에서 준공 신청에 대한 의무만 남았다”고 강조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