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jpg
▲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가전 전시회 ‘CES’가 심상치 않다. 이 전시회는 가전제품보다 미래의 자동차 향연으로 본격적으로 바뀌고 있었지만 올해는 더욱 심한 듯하다. 글로벌 자동차 CEO가 참석하는 것은 물론 이미 화두가 된 자율주행과 스마트 기능, 친환경 요소로 무장한 각종 미래의 자동차가 주도권을 쥐기 시작했다.

 그만큼 향후 자동차는 이전의 자동차가 아닌 움직이는 가전제품으로 바뀌고 있고, 부가가치가 더욱 집중된다는 의미이다.

 이미 3년 전 차량 사업부를 신설해 제 궤도에 오르기 시작한 LG전자는 물론이고 최근 전장사업부를 신설한 삼성전자도 예외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번에 삼성전자는 TV 등 순수 가전제품의 사물인터넷 기능에 올인했지만 1~2년 이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기반으로 스마트카 연관 제품을 집중 전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앞으로의 자동차는 차량 간 객체 기능을 가진 사물인터넷으로 바뀔 것이 확실시된다. 움직이는 가전제품의 역할을 집안 각종 가전제품과 같이 연동한다는 뜻이다.

 자율주행 기능도 더욱 활성화될 것이다. 올해는 스위스에서 소형 버스를 중심으로 실전 자율주행차가 운행될 것이라는 뉴스도 들리고 있다.

 물론 해킹 등 부정적인 요소도 파란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나 대세를 거스르지는 못할 것이다. 이러한 요소는 우리나라가 어느 국가 못지않게 핵심 역량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시너지 효과는 못 내고 있어 아쉽다고 할 수 있다.

 ICT 등 핵심 기술을 많이 보유하고 있고 리튬 배터리를 비롯한 친환경 전기차 등도 충분히 세계를 압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음에도 기술적으로 아직 선진국 대비 약 80% 수준이라는 것이다. 정부 차원의 통합적 컨트롤타워도 부재하고 산·학·연·관 등 장점을 부각한 시너지 효과가 약하기 때문이다.

 당장 대표적인 기업인 현대차그룹과 삼성전자 등이 분야별 세계 수준의 기술을 보유함에도 불구하고 통합적 차원의 융합 모델은 없는 실정이다. 국내 기업 간의 시너지 효과는 새로운 창조경제로 인한 고용 창출의 극대화는 물론 정부 차원에서도 각종 연구비 지원이나 세제 혜택 등 해 줄 수 있는 사안이 집중될 수 있다.

특히 핵심 기술의 유출 방지 등 여러 면에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래서 최근과 같이 급변하는 자동차 시장에서 주도적인 융합모델이 부재돼 있는 모습은 더욱 아쉽다고 할 수 있다.

 올해는 특히 친환경 요소가 강조될 것이다. 지난해 말 파리 기후변화협약은 결국 친환경차의 보급 가속도를 높일 것이고 의무화도 커질 것이다. 이 중 전기차도 점차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올해 국내에 보급되는 전기차는 약 8천 대로 지난 8년간 공급된 물량의 1.5배 이상을 공급한다. 내년은 2만 대 이상이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적극적인 미래 먹거리 확보 측면에서 발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가장 강력하다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산형 완성 전기차의 수준은 아직 변방에 머물러 있다. 주도권은 물론이고 정책적인 측면에서 중국보다도 뒤지고 있다. 기회는 점차 사라지고 있다. 수요가 없다는 핑계 아래 전기버스는 모두가 중국산으로 무장할 것이다. 국내에서는 전기버스를 생산할 수 있는 기업이 없다.

물론 국내에 해당 기업이 없다고 꼭 나쁜 것은 아니나 중국과 윈-윈할 수 있는 모델이 부재돼 있는 것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메이드 인 코리아’에서 ‘메이드 바이 코리아’나 ‘메이드 위드 차이나’라는 의미를 되새겨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자동차 분야가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우리는 어떠한 모델로, 어떤 방법으로 미래의 먹거리를 확보할지 치열하게 더욱 고민해야 한다.

수십 년간 선진국을 따라하던 관행에서 우리가 주도해 선진국을 이끌 수 있는 자동차 모델이 나올 수 있을지 주목해야 하는 시기이다.

그래서 정부를 중심으로 산·학·연·관이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과연 중앙정부는 국민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지도 다시 한번 치열하게 고민해 주기 바란다. 국민은 아직 정부를 믿고 있다. 기회를 놓치지 않기를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