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jpg
▲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3년 전 이번 정부에서 창조경제의 일환으로 육성키로 한 국내 자동차 튜닝산업이 실패로 끝나가고 있다. 지난 10여 년 전부터 튜닝 관련 세미나, 서울오토살롱 조직위원장 등 다양한 활동과 산업부 산하 ㈔한국자동차튜닝신업협회 회장을 맡으면서 나름대로 자동차 튜닝과 튜닝산업 활성화에 노력했으나 효과도 미흡하고, 실질적인 규모 확산에는 실패로 끝났다고 할 수 있다.

 국내 자동차 튜닝산업 규모는 약 5천억 원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부정적인 물밑 경제인 만큼 정확한 수치 계산은 어려운 실정이다.

 3년 전 창조경제의 일환으로 간주돼 정부 차원에서 활성화에 노력한다고 했으나 현 시점에서 변화된 것은 거의 없다. 도리어 그나마 음성적으로 이뤄진 시장마저 인증 등 문턱 높이만 높여 놔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는 볼멘소리도 들려오고 있다.

 전국 지자체가 아직도 자동차 튜닝산업을 핑크빛으로 간주해 너도나도 자동차 튜닝 분야를 개발사업으로 포함시키는 것을 보면 너무 쉽게 생각한다고 할 수 있다. 자동차 튜닝산업은 별도의 분야가 아닌 자동차산업의 일환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돼 타 자동차 애프터마켓과 시너지 효과를 누려야 가능한 분야다.

 필자는 예전부터 각종 튜닝 세미나를 통해 선진국형 구조변경제도의 재정립, 소비자 중심의 원스톱 서비스 구축, 독일식 히든챔피언 육성과 같은 세계적 튜닝 전문기업 100개 육성, 최소한의 민간 차원 인증제도 구축을 통한 제품의 신뢰성 구축, 튜닝전문가 양성을 비롯한 자격증·튜닝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운영, 모터스포츠와 연계된 각종 대회와 전시 등 다양한 문화거리 조성 등을 주장해 왔다. 더욱이 메이커 차원의 비포마켓 튜너 양성과 애프터마켓 차원의 중소형 튜닝기업 활성화 및 조화 등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는 제대로 된 것이 별로 없다. 특히 가장 중요한 규제인 자동차 구조변경제도도 정리를 했지만 예전과 달리 풀린 것이 제대로 없다. 선진국과 같이 자동차 좌석 하나 떼어낼 수 없는 제도에서는 목까지 올라온 규제를 탈피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선진국은 안전, 배기가스, 소음 3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나머지는 민간 차원에서 활성화가 이뤄지는 확실한 제도적 방법과 믿고 살 수 있는 민간 차원의 인증을 통해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심지어 엔진과 변속기를 개인적으로 사서 자기 집 뒤뜰에서 세계 유일의 차량을 만들어 번호판을 붙이고 길거리를 나갈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이루고 있다.

 우리는 아예 불가능한 국가다. 인증제도도 부품별로 민간 차원에서 문턱 낮추기를 통한 인증 방법을 구사해야 가능하나 도리어 문턱은 높아지고 자가당착성 기득권 유지에 여념이 없는 실정이다. 두 개의 협회를 내세운 산업부와 국토부의 샅바 싸움도 이제는 지겹다. 최근에는 관련 협회가 또 하나 생성돼 의견 조율은커녕 세 불리기에 여념이 없다. 또 다른 협회가 나온다는 얘기도 있다.

 자동차 튜닝 발전을 그토록 기원하던 필자도 고민은 많아지고 있다. 협회 회장이라고 해도 할 수 있는 역량에 한계가 있고 운신의 폭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계속 떠들어 봤자 관심을 가져주는 사람도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생각하던 튜닝산업 활성화를 통한 고용 창출과 청년 일자리 활성화는 물론이고 먹거리를 풍부하게 만들고 신기술을 업그레이드시키며, 풍성한 자동차 문화의 완성이라는 목표는 점차 멀어지고 있다.

 어렵지만 다시 한번 정리해 노력해 봐야겠다는 생각과 함께 마무리지어 보려 한다. 오는 7월 7일 개최되는 서울오토살롱에 두 정부 부서와 두 협회를 초빙했다.

 세미나도 기획해 국내 튜닝산업의 무엇이 문제인지 다시 한번 계획을 세우고 있다. 최근 일자리 창출과 청년 일자리 구축이 화두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분명히 자동차 튜닝산업 활성화는 기폭제가 될 수 있는 기회라고 확신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