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사전적 의미는 ‘필요한 것이 모두 갖춰져 모자람이나 흠이 없다’다. 반의어는 불완전, ‘완전하지 않거나 완전하지 못하다’는 뜻이다.

남재우(44)씨. 그는 누가 봐도 불완전한 상태다. 한쪽 팔을 전혀 사용하지 못한다. 한쪽 다리도 정상이 아니다. 한쪽 귀마저 전혀 들리지 않는다. 3살 때 당한 교통사고 후유증이다. 몸 반쪽을 잃었다.

그에게 세상은 이분법이다. 남을 놀리고 괴롭히는 것을 마치 민족의 역사적 사명인 양 여기는 세상. 오대양 육대주보다 넓고 깊은 사랑으로 남을 돕고 나누며 함께 살아가는 세상. 35년 넘게 자신을 붙잡고 있던 어머니의 헌신과 사랑. 남 씨가 택한 세상이다.

헌혈. 힘쓰는 일을 전혀 할 수 없었던 그가 할 수 있는 유일한 나눔의 방법이다. 2001년 3월 7일. 처음 피를 뽑으러 간 날이다. 성치 않은 몸을 이끌고 헌혈의집 문을 열었다. ‘내 피도 쓸모가 있을까?’하는 두려움. 이내 자원봉사자들의 친절에 덮였다. 그날 자신이 세상에 쓸모가 있는 사람이란 걸 처음 알았다.

하루하루 헌혈의집을 찾는 날이 늘면서 어느덧 111회나 됐다. 1회 평균 500㏄의 피를 뽑는데, 지금까지 남 씨가 뽑은 피의 양은 5만5천500㏄. 1.5L 페트병으로 37개 분량이다. 1인 평균 혈액량이 4천800㏄ 이니 12명 가까운 사람 몸속에 있는 혈액량과 맞먹는다.

남 씨는 일반적인 ‘전혈헌혈’을 하다 2013년부터는 일부 성분만을 분리해 채혈하는 ‘성분헌혈’을 한다. 전혈헌혈은 두 달이 지나서야 다시 할 수 있지만, 성분헌혈은 2주만 지나도 다시 할 수 있으니 나눔의 기쁨도 두 배가 됐다.

남 씨는 지난해 9월 적십자 헌혈 유공 명예장을 받았다. 헌혈을 100회 이상 한 사람에게 주는 포장이다. 이대로라면 늦어도 2020년이면 200회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단, 건강이 허락한다면 말이다.

남 씨의 유일한 걱정거리는 헌혈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헌혈을 할 수 없다는 것은 몸이 건강하지 않다는 증거다. 전날 뷔페에서 기름진 음식을 먹어 헌혈을 할 수 없었던 기억이 또렷하다. 그가 성치 않은 몸을 이끌고 시간을 쪼개 애써 산을 오르는 이유다. 건강 말고도 산이 주는 선물은 또 있다. 한계를 극복하는 것. 위대한 가르침이다.

10년 전, 어머니가 세상을 등지던 날. 세상에 홀로 남겨질 아들을 걱정하면서 놓지 않으려 애썼던 따뜻한 손. 남 씨는 그 온기를 오롯이 헌혈증에 담아 그가 믿는 세상에 전달하고 있다. 헌혈을 하고 받는 상품권을 주변 사람들과 나누는 ‘작은 행복’을 누리는 것은 보너스다.

"행복이 뭐 별건가요? 불편한 몸으로도 나눔을 실천할 수 있다는 게 제겐 가장 큰 행복입니다"라는 남재우 씨. 비록 외형적으로는 불완전하지만 완전한 사람도 낼 수 없는 밝은 빛이 나는 사람이다. 그 불빛을 보면서 그의 가치를 생각한다.

안성=한기진 기자 satan@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