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평도 포격을 기억하기 위해 마련된 중부리 피격현장 안보교육장이 관광객들이 발길이 뜸해 썰렁한 모습을 하고 있다.  <사진=기호일보 DB>
▲ 연평도 포격을 기억하기 위해 마련된 중부리 피격현장 안보교육장이 관광객들의 발길이 뜸해 썰렁한 모습을 하고 있다. <사진=기호일보 DB>
인천에 바다가 없다. 이야기가 무궁무진한 서해5도도 마찬가지다.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도 "볼 게 없다"며 발걸음을 끊고 있다.

정부와 인천시, 옹진군이 서해5도 특별법 등에 따라 국·시·군비를 지원하고 있지만 실효성은 여전히 미지수다.

24일 시와 군 등에 따르면 서해5도(백령도·대청도·소청도·연평도·소연평도) 지원은 ▶주민, 인천시민, 타 시도 관광객(서해5도 방문사업) 등 뱃삯 지원 ▶정주생활지원금 ▶낡은 주택 개량사업 등이다.

뱃삯은 주민 편도 5천~7천 원이고, 인천시민 50% 할인, 타 시도 관광객 조건부(1박) 50% 할인해 준다. 연간 예산은 138억 원가량이다.

정주생활지원은 6개월 이상(월 15일 이상 실거주) 거주민을 대상으로 매달 5만 원씩 지급하고 있다. 예산은 월 30여억 원이다.

낡은 주택 개량은 30년 이상 낡은 집에 대해 인테리어 비용의 80%(최대 4천만 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으로 연간 약 45억 원의 예산이 들어간다. 지난해 120가구, 올해 100가구가 선정됐다.

이 세 가지만 따져도 서해5도 지원금은 한 해 540여억 원 규모다. 적지 않은 예산이 투입되는데도 서해5도를 찾는 이들의 발걸음은 늘지 않고 있다.

서해5도 방문사업에 따른 연간 여객선 이용인원은 2013년 5만2천55명, 2014년 6만4천670명, 지난해 6만3천580명으로 제자리걸음 수준에 머물렀다.

더욱이 1박을 조건으로 할인해 주는 뱃삯도 인터넷 예약사이트를 통하면 어렵지 않게 ‘무조건(당일치기 가능)’ 예매가 가능하다. 세금이 새어 나가는 것이다. 현재 타당성용역 조사가 진행 중인 연안여객선 준공영제가 이대로 시행된다면 세금을 바다에 뿌리는 것과 다름없다.

결국 관광객들이 뱃삯을 내고 서해5도로 들어와 소비를 하게끔 해야 제대로 된 준공영제도, 정주생활지원도 가능해지는 셈이다. 그러나 아직 서해5도의 관광상품(콘텐츠)은 부족한 실정이다.

43억 원을 들인 연평도 안보교육장은 10여 분 만에 다 돌아볼 만큼 ‘볼거리’가 부족하다. 백령도 26곳, 대청도 9곳, 연평도 7곳 등 42개의 주민대피시설(방공호)은 530억 원을 들였는데 연 3∼4회를 제외하곤 방치되고 있다.

주민들은 체험형 안보관광이 서해5도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하지만 시는 주민들의 정서를 ‘핑계’로 미루고 있다.

연평주민 조모(53·여)씨는 "포격 이후 군사지역이 2배 가까이 늘어나다 보니 절경을 관광할 만한 곳에 갈 수 없게 됐다"며 "대피소 1년에 몇 번이나 들어간다고 그 좋은 시설들이 놀고 있는데 활성화시켜 연평 여행 코스를 다양화하면 관광객들이 2∼3일 머물고 가는 만큼 이처럼 주민들에게 좋은 것은 없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철원 등 땅굴 체험은 한국전쟁 이후 전투가 벌어진 적이 없으니 괜찮지만 연평도는 아직 주민 정서가 그렇지 못하다"며 "서해5도 관광은 앞으로 인천 섬 프로젝트와 함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봐야 한다"고 했다.

이어 "대규모 예산 문제도 있고 선박 준공영제는 해상운송을 대중교통제도 안으로 넣으려면 법을 바꿔야 하기 때문에 쉽진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