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jpg
▲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과 교수
결국 폭스바겐이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판매중지라는 카드를 빼들었다. 자의적인 부분보다는 타의적인 판매중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의 과반에 육박하는 치명적인 감축이다. 향후 재인증을 통해서 판매가 된다고 해도 예전과 달리 더욱 까다로운 환경부 인증 절차와 기간을 필요로 해 올해 안에 진행된다고 확정 지을 수 없는 상황이다.

 폭스바겐은 국내 시장에서 지금까지 연간 4만 대, 아우디 약 4만 대 등 메머드급의 판매 실적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이번 사태는 엄청난 충격과 자동차 시장 판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역시 가장 큰 문제는 소비자의 폭스바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다. 초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정부에 최선을 다하고 소비자 배려 등 적극적인 보상 활동을 진행했어도 이 정도까지 진행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아직 폭스바겐은 리콜 등 계획에 대한 발표가 없어서 후폭풍은 남아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이번 사태를 통해 국내 시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이다.

 폭스바겐의 진행사항이 어떻게 마무리되는가가 중요한 관건일 것이다. 이미 판매중지는 엎질러진 물인 만큼 신차 판매를 위한 재인증 등의 절차도 중요하지만 우선 소비자를 위한 배려 제고에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신차 판매에 앞서서 리콜 등 마무리를 잘하고 정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며, 폭스바겐이 새롭게 태어났다는 신호를 보내줄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분명히 폭스바겐은 기술도 갖고 있고 세계적인 글로벌 메이커인 만큼 뼈를 깎는 아픔을 견디고 재도약을 할 수 있는 시작점을 찾아야 한다.

 두 번째로 다른 메이커에 주는 시사점이다. 이번 폭스바겐 사태로 분명히 반사이익을 갖는 메이커도 나타나겠지만 무엇보다도 국내외 어느 메이커도 자유스럽지 못하다는 것이다. 연비나 환경 인증을 비롯한 각종 절차에서 예전부터 편법을 많이 사용하고 애매모호한 부분으로 적법과 불법이 종이 한 장 차이로 극과 극이었던 만큼 이번 사태를 통해 자사의 자정 기능을 극대화해 제대로 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정부의 노력이다. 환경부는 이번 기회를 통해 검찰이라는 조직을 동원하기에 앞서 제도적으로 법적으로 미비된 부분, 특히 인증 등에서 구멍이 많은 부분을 보완해 촘촘하고 안정화된 선진형 제도로 탈바꿈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필요하면 미국의 징벌적 보상제와 벌금 등의 일부를 도입해 한국형 모델 정립에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로 소비자 중심의 제도적 기반이다. 이번 사태가 계속 커짐에도 불구하고 국내 어떠한 소비자 단체도 제대로 활동한 단체는 전혀 없다는 것이다. 도리어 60개월 무이자 할부 등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에 국민들이 해당 차종을 구입하는 데 혈안이 되는 아이러니한 장면만 보았을 뿐 어느 단체도 불매운동이나 대정부 촉구책을 내놓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부도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정책적으로 전체적인 숲이나 산을 보지 못하고 일회성 나무만 캐는 모습을 보여줘 신뢰성이나 지속성은 매우 부족했다는 것이다. 어느 누구 하나 단체하나 지적하지 않고 쳐다만 보는 형국이 진행되고 있는 것도 심각하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적당히 하면 판매율은 극대화할 수 있는 국민성과 허술한 법적 기반으로 언제든지 빠져나올 수 있다는 신호는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할 수 있다. 이번 기회가 우리의 허술한 전체적인 부분을 재수술해 진정한 선진국 자동차 산업과 문화를 구축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