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환 사회부장.jpg
▲ 박정환 사회부장
인천 중·동구 북성포구(십자굴) 준설토투기장 조성(매립)을 둘러싸고 뒤숭숭하다. 준설토투기장 조성에 대한 찬반양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이다.

 북성포구 주변 주민들과 어민들로 구성된 발전추진위원회와 선주협회는 준설토투기장 조성에 찬성하고 있다. 사진작가와 문인, 환경단체 회원 등으로 짜인 ‘북성포구 살리기 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은 매립에 반대하고 있다.

 이 사업은 6년 전인 2010년부터 논의됐다. 포구 주변 환경개선에 주민들의 청원이 있었다.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2016~2020년)에 이미 반영돼 국비 300억 원이 확보된 상태다. 지금 와서 일고 있는 찬반논란 자체가 참 뜬금없는 일이다.

 시민모임은 매립반대 명분으로 인천 유일의 갯벌포구라는 점을 내세운다. 매립은 북성포구의 가치와 존재를 지워버리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준설은 하되 준설토투기장 조성은 안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인천해양수산청은 북성포구 일대 십자수로 32만㎡ 중 7만6천㎡를 준설토투기장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길이 151.6m의 호안을 쌓은 뒤 북항 항로 내 준설토(14만6천458㎥)를 포함해 북성포구에 긁어낸 뻘 등 21만6천212㎥로 투기장 안을 메운다는 계획이다. 투기장 안에 5개의 배수관로(총길이 970.6m)도 설치한다.

 북성포구는 분명 추억이 묻어나는 곳이다. 1970년대 중반 여객터미널과 어시장이 연안부두로 옮겨가기 전 어시장 일대였다. 하지만 지금 북성포구의 몰골은 말이 아니다. 좁은 진입로와 무허가 횟집, 천막 어판장이 뒤엉켜 있다. 썩은 갯벌로 여름철이면 악취가 코를 찌른다. 인천역이 종착역인 경인선을 타고 북성포구를 찾는 이들의 입맛에 맞출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

 당초 해양수산부가 계획을 세울 때는 북성포구 매립만을 염두한 것이 아니었다. 인천항 주변 워터프런트 조성과 맞물려 있었다. 북성·만석·화수 등 3곳의 포구와 월미도를 잇는 5.6㎞ 구간의 둘레길 조성이었다. 대한제분에서 북성포구에 이르는 길이 275m 도로의 너비를 10m에서 15m로 넓혀 접근성을 높이는 계획을 포함하고 있었다. 준설토투기장을 조성한 뒤 무허가 횟집들을 정비해 입점시키고, 공원과 주차장도 조성하는 방안이었다. 개항지구와 월미공원과 연계한 관광명소화 작업 중의 하나였다.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북성포구에 대한 냉철한 진단이다. 시민모임은 북성포구를 인천 유일의 갯벌포구라고 하지만 그렇지도 않다. 같은 중구 땅인 삼목과 예단포도 있다. 강화로 눈을 돌리면 선두리도, 외포리도 있다.

 북성포구의 갯벌도 한번 생각해보자. 그게 어디 살아있는 갯벌인지, 꼭 지켜야 할 생산성 있는 갯벌인지 곱씹어 봐야 한다. 북성포구 일대는 일제 강점기부터 매립을 했던 곳이다. 그 주변에는 공장이 들어섰다. 그 주변 지역의 오염원들 탓에 이미 생명력을 잃었다.

 시민모임이 준설토투기장 조성 포기를 외칠수록 북성포구 인근 주민들과 어민들과의 갈등과 반목은 증폭될 수밖에 없다. 주민들은 그렇지 않아도 최근 북성포구와 관련한 시민모임의 활동을 삐딱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북성포구 매립 반대를 빌미로 발을 들여놓은 뒤 바로 코앞인 8부두 창고의 상상플랫폼 조성사업에 간섭하려는 게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는 마당이다.

 시민모임은 북성~만석~화수 부두를 잇는 둘레길 조성 등 해수부가 구상했던 워터프런트 계획에 대한 추진 의지와 조언의 역할을 하는 것이 훨씬 낫다.

 한걸음 더 나아가 군부대의 철조망으로 막힌 인천의 해안을 시민의 품으로 돌리는 노력을 한다면 충분히 시민들로부터 박수를 받을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