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은주.jpg
▲ 전은주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최근 5년 동안 갑작스러운 회전성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병인 ‘이석증’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조사에 따르면 2012년 80만여 명, 지난해에는 100만 명 이상의 이석증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빈혈이나 혈액순환 장애로 오인하기 쉬운 이석증은 무엇이고, 치료법은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 이석증이란?

 말 그대로 ‘귓속에 있는 작은 돌멩이’를 뜻하는 이석(耳石)은 일종의 칼슘 부스러기입니다. 내이(內耳)에는 이석기관과 세반고리관로 이뤄진 전정기관(평형감각기)이 있어서 우리 몸의 평형감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석은 원래 난형낭이라고 하는 이석기관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면서 몸의 선형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래 자리를 이탈해 몸의 회전과 가속을 감지하는 곳인 세반고리관으로 잘못 들어가면 세반고리관을 자극해서 움직일 때마다 회전성 어지럼을 느끼게 됩니다. 이를 이석증이라고 합니다.

 # 어떤 증상을 보이나요?

 머리를 돌리거나 고개를 젖힐 때, 혹은 누울 때 등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일 때 핑핑 도는 심한 어지럼증이 10~20초 정도 지속되다가 저절로 사라집니다. 어지럼은 없어졌다가 특정 방향으로 몸을 움직이면 다시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하면 메슥거리는 증세와 함께 구역, 구토, 눈의 움직임(안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난청, 이명, 이통 등 귀와 관련된 다른 증상은 동반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40대 이상 중·노년층에서 발병하며, 남성보다 여성에서 발병률이 높습니다.

 # 이석증이 생기는 이유는 뭐죠?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지만 노화나 칼슘대사장애, 골다공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머리를 세게 부딪치거나 거꾸로 하는 자세를 심하게 했을 경우에도 이석증이 발생합니다. 또 장기간 침대생활을 하거나 노인의 경우 움직임이 둔화돼 이석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기능 저하, 만성피로, 면역력 저하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많으며 전정신경염, 중이염, 돌발성 난청 등 귀 질환을 앓은 이후에도 이석증이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이석증은 가만 놔둬도 대개 몇 주나 수개월 후 저절로 없어지지만 적극적인 치료를 하면 훨씬 빨리 좋아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게 좋습니다.

 이석증 여부는 머리와 몸을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안구에서 나타나는 안진을 관찰하는 체위안진 검사로 확인합니다. 머리를 좌우로 45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뒤로 눕히면서 보거나,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좌우로 돌리면서 세반고리관을 자극해 안진을 유발해 진단합니다.

 이석증은 ‘이석정복술’이라는 물리치료를 통해 치료하는데, 이 치료는 세반고리관의 내림프액 속에 흘러다니는 이석 조각을 제자리로 돌려주기 위해 환자의 몸과 머리를 일정한 방법으로 움직여 주는 치료입니다. 치료 시간은 약 15분 정도로, 시술 중 어지럼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개 2∼3회 치료로 약 90%에서 성공적인 결과가 나타납니다.

 # 치료 후 주의해야 할 점

 이석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가급적 머리나 몸을 급격히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머리를 돌리거나 뒤로 젖히는 등의 과도한 움직임을 줄이고, 취침 때까지는 되도록 머리를 세운 채로 앉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치료 후 48시간 눕지 않고 앉은 자세로 있게 하기도 합니다. 필요에 따라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특정 자세를 반복적으로 취하게 하는 습관화 운동을 하기도 하며, 심할 경우 세반고리관을 막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 재발이 쉽다던데, 예방은 어떻게?

 독일 뮌헨대 신경과 연구진이 이석증 환자 125명을 6~17년간 관찰한 결과, 5년 이내 평균 재발률은 33~50%였습니다. 이처럼 이석증은 재발률이 꽤 있는 질환이지만 그렇다고 만성 재발성으로 발전하는 질환은 아니므로, 재발했을 경우에는 가까운 전문의를 찾아서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면 바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재발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으나, 평소 가벼운 운동과 규칙적인 야외활동으로 골대사와 혈액순환을 증진시키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생활 수칙이 도움이 됩니다. 또 머리를 거꾸로 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자세를 피하고, 머리 쪽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도움말=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전은주 교수>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