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jpg
▲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최근 전기차의 위세가 심상치가 않다. 이미 글로벌 메이커들이 다수의 전기차를 개발 보급하겠다는 발표는 식상할 정도로 많아지고 있고 전기차의 단점이 많이 사라지면서 이제 전기차는 단순한 미풍이 아닌 자동차의 주류로 들어왔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아직 자동차는 내연기관차 중심이고 상당한 기간 그 주도권을 쥐고 움직일 것이나 다양한 친환경차가 경쟁력을 가지면서 점유율을 늘릴 것이 확실시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구 온난화 등 국제적 환경 기준이 강화되면서 그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전기차의 발전은 배터리의 개선과 충전 인프라 등 소비자가 불편하게 느끼는 단점이 많이 사라지면서 경쟁력이 올라가는 것이 특징이다. 올해의 목표대로 추진한다면 연말에는 총 3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판매하는 전기차 1만4천 대에다가 작년 잉여분 4천 대가 추가돼 1만8천 대가 판매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부족한 충전 인프라도 설치 가속도를 높이고 있어 내년 후반에는 전국적으로 충전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이 예상된다. 특히 내년 후반에는 한번 충전에 300km 내외가 운행 가능한 전기차가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출시되면서 소비자가 불편한 부분이 많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기차 보급이나 확산은 국내에서 아직은 부족한 부분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 유럽이나 미국, 일본은 물론 중국보다 뒤진 보급과 확산 전략, 여기에 긍정적인 홍보 이미지 등 다양성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매진해야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아파트 같은 집단 거주지가 도심지의 경우 약 70%에 이를 정도로 집중돼서 공용 주차장을 활용한 심야용 완속 충전기 설치 장소 확보가 어려웠다고 할 수 있다. 이 부분은 일본 등도 같은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으나 최근 국내에서 모바일 충전기를 이용한 해결 방안이 나오면서 해결점을 찾아가고 있다. 다양한 모바일 충전기를 통해 하루속히 불편함이 사라져야 하는 이유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소비자가 쉽게 전기차를 활용할 수 있는 충전 인프라 종합 컨트롤 센터의 확보이다. 전기차 운전자가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바로 충전 시설이다. 여기에 세 가지나 되는 충전 종류로 자신의 전기차에 맞는 충전장치를 찾아야 하고 이 경우도 누가 사용하는 지, 고장은 나지 않았는지 하나하나 확인하는 일은 강한 부정적인 생각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나이 많은 고령자의 경우 더욱 충전하는 방법이나 자신에게 맞는 충전소를 찾는 일은 보통의 일이 아닐 수 없다. 아직 국내에서는 민관용 등 다양한 충전기 설치주체와 관리주체가 통일화돼 있지 않아 소비자는 하나하나 확인해야 할 정도이다. 정부에서는 이제라도 모든 민관용 충전 시설을 통합해 관리하고 이를 토대로 운전자에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종합 컨트롤 센터를 완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충전기 관리 예산의 별도 확보다. 최근 각종 매스컴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충전을 하러 간 전기차 운전자가 고장 난 충전 시설을 거치면서 다양한 경험담을 내보낸 경우이다. 국민들에게 부정적인 시각은 물론 전기차 매니아가 이런 경우를 겪으면서 전기차 안티로 변하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현재는 정신없이 충전기 설치를 늘려가고 있으나 이에 못지않게 충전시설의 지속적인 관리는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정부에서 역시 친환경차 보급 활성화에 나선 점은 더욱 고무적인 일이나 아직 세부적인 액션 플랜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번에 앞서 언급한 각종 문제점을 개선해 전기차가 우리의 미래 먹거리로서 확실히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