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노인.jpg
▲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치매환자의 실종 예방을 위해 도입된 ‘배회감지기’가 큰 효력을 발휘하지 못해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일종의 GPS 장치인 배회감지기는 치매환자가 안심지역을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휴대전화로 위치를 전송, 환자가 실종됐을 때 빠른 시간 안에 찾을 수 있는 대표적 안전망이다.

27일 인천경찰청에 따르면 인천 지역의 지난해 치매환자 실종신고는 681건으로 올해 들어서도 상반기 중 420건의 신고가 접수되는 등 최근에만 1천101건에 달한다.

실제로 지난달 28일 강화군에서는 치매를 앓고 있는 A(70)씨가 요양원을 나간 뒤 실종돼 경찰과 소방인력이 투입돼 이틀 만에 구조되기도 했다.

이처럼 치매환자가 실종되면 경우에 따라 많은 인력이 투입되기도 하는 등 사회적 비용이 발생, 정부는 2013년부터 해결책으로 배회감지기를 보급하는 대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치매환자들의 실제 사용은 극히 드물다. 인천 지역에서 장기요양보험등급 수급자로 결정된 치매환자 3만2천916명 중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일정 비용을 부담하고 배회감지기를 대여한 치매환자는 67명에 불과하다. 인천시치매센터에서 별도로 보급한 150대를 제외하더라도 배회감지기 보급은 1%도 안 된다.

이처럼 치매환자 실종에 큰 역할을 하는 배회감지기의 보급이 치매환자들에게 외면받는 데는 이유가 있다. 분실 위험성과 잦은 배터리 충전 등의 관리 문제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배회감지기의 사용률이 낮은 것은 대부분 목걸이형으로 보급돼 분실 가능성이 크고, 배터리 수명이 짧아 자주 충전해야 하는 등 관리하기가 번거로워 외면받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인천시치매센터 관계자는 "배회감지기 대부분이 목에 차는 목걸이형으로 분실 위험이 크고 배터리 수명이 낮다"며 "문제를 보완한 스마트워치형 배회감지기를 센터에서 따로 배포하고 있지만 더 많은 홍보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보다 많은 치매환자가 배회감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경찰청과 연계해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펼치겠다"며 "낮은 배터리 수명과 GPS 반경 확장에 대해서는 기술적인 부분이므로 제작업체와 논의해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우제성 인턴기자 wjs@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배회감지기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