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jpg
▲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지난 4년간 자동차 튜닝산업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지만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시적인 효과는 많이 미흡했다고 할 수 있다. 일각에서 언급하는 부정적인 시각 중 여러 협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성화가 안된다는 점과 완성도가 높은 최근의 차종을 고려하면 튜닝은 이제 한물간 산업이 아닌가 하는 시각도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은 당연히 나올 수 있지만 단편만 보고 판단을 내린 결과라고 판단된다.

 우선 자동차 튜닝산업이 지난 박근혜 정부에서 시작된 배경은 필자로부터 시작됐다고 할 수 있다. 정부에서는 튜닝에 대한 인식도 없어서 당시에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모두 필자가 튜닝에 대한 설명과 설득을 하던 시기였다. 당연히 서울오토살롱 조직위원장, 튜닝 세미나 등 유일하게 필자가 튜닝 관련 활동을 해 활성화에 노력하던 시기였다. 여러 자문을 하던 중 안면이 여러 번 있었던 산업부 차관에게 자동차 튜닝의 활성화와 그 중요성이 부각됐고 아예 정부 차원의 움직임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급격하게 진행됐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정부에서는 창조경제의 먹거리 확보가 중요한 꼭지였던 만큼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진행됐다. 일사천리에 산업부 산하 한국자동차튜닝산업협회가 발족됐고 전체를 진행한 필자가 회장을 맡게 됐다. 이를 시작으로 국토부가 서둘러 관제 형태로 역시 급하게 협회를 결성해 필자가 잘 아는 교수에게 맡기면서 정부 두 부서가 경쟁 관계를 낳게 됐다. 이후 두 협회의 통합을 위한 움직임이 있었으나 역시 국토부 당국의 흡수통합이라는 기조 아래에서는 불가능했다. 이후 국토부는 통합을 강조하면서도 또 하나의 협회를 발족시켜주면서 더욱 혼란스럽게 했다. 이러한 진행 과정은 필자에게는 매우 아쉬운 부분이 아닌가 싶다. 중요한 점은 협회가 할 수 있는 역량이나 정부 지원은 전혀 없는 만큼 중앙정부가 움직이지 않으면 분명히 한계가 있고 쉽지 않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국내 자동차 튜닝이 선진국과 달리 불모지였던 가장 큰 이유는 자동차 튜닝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키우는 요소만 가득할 만큼 법적인 제제가 극대화돼 있다는 점이다. 일각에서 얘기하는 기존 정책을 느슨하게 풀어 자동차 안전에 영향을 주는 것 아니냐는 시각은 우리가 그만큼 규제에 얽매어 포지티브 정책에 익숙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유럽, 일본과 같이 다양성을 강조하고 네거티브 정책으로 진행해도 전혀 안전 등에 문제가 없는 것을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는 만큼 이제는 안전이라는 미명 하에 규제를 들먹이지 말았으면 한다.

 셋째로 일각에서 언급하는 시장이 없는데 괜히 기대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다. 필자가 언급하던 지금의 국내 자동차 튜닝산업 약 5천억 원 시장이 향후 노력 여하에 따라 4조~5조 원, 연관 산업인 모터스포츠도 1조~2조 원이 된다는 시각은 지금도 변하지 않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의 경우 최대 자동차 튜닝 산업이 20조 원에 이른 경우도 있었고 평균 13조~14조 원 정도지만 지금도 상당 부분을 유지하고 있고 전문 튜닝에서 일반 튜닝으로 발전되면서 현 시대에 맞는 튜닝산업으로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보는 시각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자동차 튜닝산업을 별도의 산업으로 생각하고 키우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 애프터마켓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틈새 산업으로 키우는 시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애프터마켓도 모르면서 튜닝만 키우려는 정부의 시각이나 비전문가의 시각은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정부의 법적 제도적 한계나 자동차 애프터마켓을 알고 시장의 요구사항이나 세계적 흐름을 인지하는 전문가적인 방안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분명한 것은 자동차 튜닝산업의 현 문제점과 실태를 파악하고 전체를 보는 시각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단편적인 시각을 버리고 너무 기대도 말며, 하나하나 챙기면서 간다면 분명히 머지않아 국내 자동차 튜닝산업의 활로 마련은 물론, 꽃 피는 시기가 꼭 온다고 확신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