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언규.jpg
▲ 심언규 사회부장

올 추석에도 어김없이 먹거리 안전은 뒷전이었다. 중국산 쌀을 국산으로 속여 만든 한과를 속이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두부, 묵 등을 판매하는 식품위해 사범이 예년과 같이 여전히 기승을 부려서다.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추석연휴에 앞선 지난달 21일부터 25일까지 명절 성수식품 제조·가공·판매업소와 중·대형마트 등 574개 업체를 대상으로 집중 단속을 벌여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총 85개 업소를 적발한 바 있다. 이를 유형별로 보면 유통기한 경과 원재료 사용 7곳, 원산지 거짓 표시 4곳, 작업일지 미작성 등 영업자 준수사항 위반 40곳, 미표시 축산물 보관 등 기타 위반 34곳 등이다. 이 중 성수식품 137건에 대해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안전성 검사를 의뢰한 결과, 기준 규격을 초과한 참기름 4건이 발견돼 압류·폐기 처분해 우리 국민에게 고소한 맛을 전하는 참기름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또 국립농수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도 마찬가지로 같은 기간에 추석 대비 농식품 원산지 표시 단속 특별대책으로 도내 12개 지자체를 비롯해 서울과 인천 등에서 단속에 나선 결과, 총 45건의 원산지 표시 위반 업체를 적발하고 형사 입건 또는 과태료 처분했다.

 이처럼 해마다 명절에 우리 먹거리에 대한 특별단속은 정부와 지자체, 경찰 등 모든 기관에서 매섭게 진행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위반 사례는 근절되지 않는 등 매번 악순환 고리는 되풀이되고 있다.

 특히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빅데이터팀이 지난 1990년부터 2017년까지 뉴스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빅카인즈’를 통해 먹거리 파동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며 보면 먹거리 파동은 2004년, 2005년, 2008년, 2010년, 2017년에 상대적으로 많았다. ▶2004년 ‘쓰레기 단무지’로 만두소를 만든 이른바 ‘불량만두 파동 ▶2005년 중국산 김치 9개에서 발견된 ‘기생충 김치’ 파동 ▶2008년은 광우병 파동과 함께 멜라민 분유 파동 ▶2010년 ‘낙지머리 카드뮴’ 논란▶올해 국내산 달걀에서 살충제 성분인 ‘피프로닐’ 검출 등이 대표적인 먹거리 파동으로 꼽힌다.

 이 가운데 올 상반기 우리 식탁의 많은 먹거리 중 가장 큰 이슈는 질소과자, 햄버거, 살충제 계란 등 먹거리 파문으로 전 국민이 먹거리 안전불감증에서 전혀 빠져 나올 수 없이 여전히 불안감만 더욱 증폭시켜 온 것이 사실이다.

 가뜩이나 물가 인상률이 하루가 다르게 매일 오르는 가운데 서민이 안전하게 먹어야 할 먹거리가 일부 몰지각한 업자들 때문에 서민들이 믿고 찾을 수 있는 식품은 그야말로 찾아보기가 더욱 힘들어지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 돼 가고 있어 서민들의 아픔은 더해지고 있다.

 경제규모는 세계 8위인 경제대국 대한민국이 오직 먹거리 안전에는 왜 이리도 무성의할까 의아심이 드는 대목이다.

 지금 우리 사회는 1인 가구가 날로 늘고 있다.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20∼30대 젊은이들 사이에 1인 가구 즉 나홀로 사는 혼족은 너나 할 것 없이 먹거리에 관심이 많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간편한 편의점 도시락은 영양면에서도 뒤떨어지지 않고 고급스러워지면서 매출 성장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업체마다 안전한 먹거리 문화를 찾기 위해 고심하는 것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일부 몰지각한 소수의 불량식품업자로 인해 우리 먹거리가 안전하지 않고 위해식품으로 전락되면서 우리 사회의 안전한 먹거리 문화는 악순환이 거듭되고 있다.

 위해식품 사범 근절을 위해서는 철저한 단속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먹거리로 장난치는 행위가 근절될 수 있도록 이를 공급하는 업자나 사업장 폐쇄 등 강경한 조치로 더 이상 우리 사회에 발을 못 붙히게 하는 극약처방이 우선돼야만 경제대국 대한민국이 우리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먹거리로부터 안전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 올해 남은 기간 특단의 대책 강구가 필요하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