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에 인천지역 제조업이 살아남으려면 중앙정부 뿐 아니라 인천시가 스마트공장 추진 사업을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인천시는 오라카이 송도파크 호텔 릴리홀에서 ‘2017 인천스마트시티포럼 정책세미나’를 가졌다. 이날 포럼은 정보·통신 기술 관련 전문가들과 IT업체, 시 관계자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고희창 인하대학교 교수는 ‘4차 산업혁명과 인천형 스마트공장’ 주제발표를 통해 정부의 스마트공장 추진 정책을 설명하며 "타 시도와 같은 속도로 인천지역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을 진행하면 (타 시도와) 격차를 줄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스마트공장은 제품의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체 생산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제조 전 과정을 최적화하는 공정혁신 사업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까지 전국에 3만 개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겠다"는 ‘스마트 제조혁신 비전 2025’ 계획을 지난 4월 발표했다.

전국에서는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인천은 5월 현재 88개 기업이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구축했다.

고 교수는 "인천은 국가산업단지 기준으로 기업 수는 전국의 16.6%, 근로자 수는 전국의 11.3%를 차지하지만 생산액은 전국의 5.9%, 수출액은 2.1%로 생산성이 타 지역보다 낮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중앙정부의 민관 합동 스마트추진단 사업은 대규모 사업장 위주로 추진하기 때문에 중소·중견기업이 많은 인천지역의 특성과는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서울은 ‘서울시 빅데이터 공유·활용 플랫폼’을 만들어 빅데이터 클라우드를 가상화해 시민사회와 연구소, 스타트업과 공유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부산시도 분산·협업형 클라우드 컴퓨팅 핵심기술 개발, 클라우드 실증센터 구축 및 운영, 4차 산업혁명 연계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개발 등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경쟁력 강화 사업’을 벌이고 있다.

고 교수는 "타 시도와 같은 속도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을 진행하면 격차를 줄이기 어렵다"며 "지금부터라도 시가 별도로 추진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덕현 기자 kd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