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jpg
▲ 김 실 대한결핵협회인천지부장
요근래 인천 서구 지역에서 결핵 판정을 받고 치료를 받아야 할 사회적 취약 계층 결핵 환자가 보건소의 허술한 관리로 쓸쓸하게 죽음을 맞이 했다. OECD 국가 중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 1위의 불명예를 안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특히 결핵 사각지대에 있는 인천에서 결핵 환자 사망은 인천 결핵 관리 체계의 허술한 단면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사건으로 보면 될 것이다.

 우리 주변에는 많은 대형 병원이 있고 실력 좋은 의사가 있어 신속하고 특별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기를 원하지만 너무 많은 면역력이 약한 환자가 일시에 몰리면서 붐비는 복도에서 많은 시간을 기다리지만 정작 의사의 진료 시간은 3분을 넘기기 어렵다.

더욱이 많은 환자가 몰려 있는 병원 대기실에서 함께 섞여 기다리는 결핵 환자 대부분은 사회적 약자로 전염성이 강한호흡기 법정 전염병인 결핵 환자라고 밝힐 수도 없고, 대형 병원에서도 민간 위탁계약으로 특별 관리 한다고 하지만 결핵 환자가 오는 것을 어쩔 수 없기에 받긴 하지만 글세올시다(?)이다.

중앙정부 보건 당국은 10여년부터 환자들의 대형 병원 집중을 막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전문 병원 제도이다. 2009년 의료법 개정으로 2011년부터 전문 병원 종별을 추가하였다. 하지만 인천은 담당자의 행정 편의등 이유로 결핵 환자 중심을 외면하고 대형병원 등에 민간 위탁 계약으로 결핵 환자 관리를 맡기고 있다.

사회적 약자인 저소득층에게 다가갈 수 있는 결핵 전문병원인 복십자의원 재개원에 대해 처음에는 결핵 전문의사가 있느냐하며 거들다 요즘은 결핵 전문의사 양성이 거의 없는 현실에서 어렵게 은퇴예정인 고령의 결핵 전문의사를 모셔올 수 있다고 하자, 또 다시 방향을 바꾸어 그럼 결핵 전문의사를 모시고와 병원을 재개원하면 지원하겠다는 등 보건 정책에 일관성이 결여돼 있다.

현재 인천대형 병원 어디에도 결핵 전문의사 있는 곳은 없다. 물론 결핵 전문병원 재개원은 또 다른 중복 투자라고 강변하지만, 어쩌면 공무원 특유의 권력기관으로서 민낯을 보는 것 같다.

2015년 인천의 한 학교에서 무려 127명의 결핵 감염자가 발생한 원인은 최초결핵 발병학생을 방치한 탓으로 드러났다. 대한결핵협회 인천지부는 사회적 취약 계층과 학생들의 결핵 발견과 결핵 환자지원, 결핵 퇴치를 위해 고등학교, 재래시장, 지하상가 등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곳을 대상으로 결핵 검진 차량을 이동 시켜가면서 X선 검사와 결핵 예방 활동을 펼치고, 대형 상급병원이나 일반 병의원은 찾아오는 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대한결핵협회는 찾아가는 결핵 검진 사업을 통해 결핵 조기 발견과 함께 노숙인 외국 근로자 도서 지역 주민 및 취약 계층에 대하여 집중 검진을 하고 있지만 중부권에서 서울·경기·강원도에는 결핵 전문병원이 있으나 대한민국의 관문인 인구 300만이상의 도시 인천만 유일하게 결핵 전문 병원이 없다. 결핵은 호흡기 감염 질병이다. 반드시 예방을 위한 조기 발견과 6개월 이상 결핵 환자가 3가지 이상의 항 결핵제를 동시에 장기간 복용해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의 3분의 1이 잠복 결핵 환자로 보건당국은 보고 있다. 장수시대 연령이 늘어날수록 잠복 결핵 환자가 늘어가고 있으며, 이들 잠복 결핵 환자까지 모두 치료 대상으로 모든 국민의 행복한 삶을 위해 결핵 전문병원이 있어야 하는 또 다른 이유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