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웅 (사)한국인간관계연구소 대표.jpg
▲ 이철웅(사)<한국인간관계연구소 대표
인간의 행동은 그 상황을 판단하는 평가에서부터 비롯된다. 이런 상황 판단 능력이 어떤 정책이나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평생을 아이들과 함께하는 교육자의 직업을 갖게 됐던 것을 행운으로 생각한다. 비행 청소년 상담을 하다 보면 아이들의 미성숙한 상황 인식이 사건이나 비행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현실을 자주 목격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부모의 섣부른 판단이 아이들 행동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글을 쓰고 있는 가운데에도 머리에서 떠나지 않은 아이의 얼굴이 마음을 무겁게 한다. 좀 가벼운 비행이라고 할 수 있는 아이를 만났다. 얼굴도 곱상하고 마음도 착하게 보이며, 가정 형편도 어려워 보이지 않아 비행의 원인을 찾고자 자라난 생육사를 알아보게 됐다. 중학교도 검정고시, 고등학교도 검정고시 과정을 거쳤다는 것은 무엇인가 사회 적응 문제가 있지 않은가 생각하게 됐다. 부모도 독실한 종교인이었다. 그래서 종교를 더 가까이 하고자 대안학교인 외국계 학교로 전학시켰다는 부모의 이야기이다. 결론적으로 그 학교를 중도에 그만두고 중학교 과정을 검정고시로 마쳤으며, 고등학교마저 검정고시로 마무리했다는 것이다.

 이 아이는 왜 정규 중·고교 과정을 마칠 수 없었을까? 예측하건대 부모의 주장이 강했다고 판단되고 아이는 어른의 뜻을 따르는 것이 심리적으로 편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중·고등학교 시절이 중요한 것은 공부만이 아니라 인간관계 등 다양한 상황에 처하면서 친구들과 함께 풀어가는 연습의 장으로 학교 교육은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면, 어른들이 생각하는 결과 위주의 목적 지향적 사고가 아니라 과정 중심의 상황 중심적 사고로서 아이들 스스로가 만들어 가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아이를 상담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소박한 꿈은 가구 디자이너가 되고 싶은데…하면서 말꼬리를 낮추는 모습을 보며 자신도 모르게 억압된 상황을 알아차릴 수 있었다. 이 세상의 어떤 부모도 자신의 자녀가 꿈 없는 삶을 사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고 어린 자녀가 장래 희망에 대해 말하는 것을 무조건 지지해 줄 수는 없는 것이다. 아이의 입장에서 이해가 될 만큼 충분한 대화가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유명한 연구소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성 가운데 현실 순응형이 74%에 이른다는 보고를 낸 적이 있다. 서구 선진국은 현실 순응형 비중이 25% 정도라고 하는 보고를 비교하면 우리 국민성 가운데 현실 순응형이 지나치게 많다는 결론이다. 이는 현실 순응적 삶을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습관이 몸에 뱄다는 것이다. 이는 군사문화와 재벌 위주 정책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는데 나는 부모의 지나친 자기중심적 사고가 일역을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면 어른들이 아이들의 꿈을 망가뜨려 가는 것이요, 결국에는 꿈을 잃은 아이가 되기 십상인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문제가 있다. 우리 사회의 많은 어른들이 자신의 자녀 장래를 생각한다며 자신의 상황 판단에 따라 아이들의 진로를 결정한 판단 능력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우리 사회에 한차례 회오리바람을 몰고 왔던 아이들의 조기 유학 바람이 있었다. 부모의 단순한 과거 지향적 사고를 갖고 외국에 유학해 외국어가 유창하면 쉽게 취업할 수 있었던 시절의 향수를 갖고 아이들을 유학으로 내몰았던 시기가 있었다. 그것도 좀 부유하고 배웠다는 부류들의 어그러진 풍속도였다. 결과적으로 기러기 부모를 양산하고 유학 만능시조를 만들었으나 그들은 지금 어떠한가? 대기업 취업담당자들은 해외유학 경력보다는 착실하게 국내에서 공부한 아이들을 선호하게 됐고 외국어 능력은 이제는 많은 부분이 자동화 시스템이 대체해 주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자신에게 맞는 꿈을 스스로 찾게 하는 과정이 중요한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