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jpg
▲ 김필수 대림대 교수
작년 수입차 점유율은 15%에 이를 정도로 활성화됐다. 국내 경기도 그렇게 좋은 상태가 아니었고 각종 자동차 관련 문제가 이슈가 되면서 그렇게 긍정적인 상태가 아니라는 측면에서 더욱 의미 있는 점유율이었다. 이 점유율에는 1위와 2위인 벤츠와 BMW의 치열한 선두 다툼과 친환경 브랜드인 일본차의 선전을 언급할 수 있다.

 과연 올해는 어떠한 수입차 현황이 진행될까? 더욱이 점유율 15%를 넘을 것으로 예상될 만큼 수입차의 위상이 더욱 커질 것이 확실시 되고 있다. 이 중에서 과연 벤츠가 올해에도 수위를 차지할 것이고 판매대수는 어디까지 갈 것인지도 궁금하다. 벤츠는 일부 모델의 경우 일본을 넘어 세계 수위권을 차지할 정도로 대단한 실적을 국내에서 이루기도 했다. 따라서 독일 본사에서 우리나라 시장에 대한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 이에 앞서 벤츠가 최근 급상승한 이유를 알고 앞으로 내다볼 필요가 있다.

 우선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차종이 많아진 것이 큰 이유라 할 수 있다. 최근 소비자의 신차를 고르는 기법은 혀를 내두를 정도로 까다로워지고 있다. 벤츠 하면 ‘나이 들어 벤츠로 간다’는 전통적인 의미는 누구나 알고 있을 정도로 명차의 이미지와 점잖은 이미지가 혼합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최근에 여기에 젊은 층들이 선호하는 다이내믹 특성과 전향적이면서 세련된 명차 외관 이미지를 함께 심어 줬다. 즉 BMW가 가지고 있던 다이내믹한 운전 재미를 벤츠도 품고 실제로 표현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미려한 외부 디자인과 지겹지 않은 세련된 감각과 적절한 고급 옵션들은 더욱 벤츠의 선호도를 크게 높인다. 이 부분이 최근 1~2년 사이에 BMW와 점유율 차이를 가른 요소로 작용했다. 상대적으로 BMW는 풀 체인지 모델이면서도 이전 모델과 큰 변화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신차 구입에 따른 상대방의 인센티브 정책에서 뒤졌다.

 여기에 고급 프리미엄급에 따른 일부 ‘가진 사람들’의 이미지를 젊은 층들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늘리는 파이낸스 전략과 소형차급으로 전이된 가격 하락도 선택의 폭을 넓혔다. 전체적인 브랜드 이미지 상승을 이러한 활동이 이끌어주면서 더불어 판매도 증가하는 동반 상승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BMW 신차는 디자인의 변화 폭이 벤츠 대비해 부족하고 특화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평가받고 있으나 차종의 다양성과 가장 활발한 사회 공헌 활동 등 여려 면에서 최고의 노력을 기울여 역시 역대 최고의 성적을 냈다. 역시 1위와 2위를 가른 요인은 파격적인 변화 디자인이 가장 컸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소비자의 복합적인 경향 중 우선적으로 보고 우선 택일하는 요소가 바로 외부 디자인의 변화다. 그래서 글로벌 메이커들이 우선 신차에 적용하는 디자인을 가장 중시하는 이유다.

 벤츠는 올해도 최고의 실적을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향후 역시 판매량이 많아서 주변에 너무 많이 눈에 띄고 차별화에 실패한다면 결국 정체되고 줄어드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특히 지속적인 사회 공헌 활동이나 소비자 배려 등 아직 남아 있는 불만 요소를 줄이는데도 노력해야 한다. 올해 수입사 1위 고수는 물론 상황에 따라 판매량 8만 대 달성도 가능할 것이다. 벤츠 본사가 국내 시장을 중시할 만한 확실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노력이 결실을 맺어 국내 자동차 산업과 문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해 선진형으로 자리매김하는데 크게 일조했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국내 메이커에 공정한 경쟁 심리를 심어주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