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군 농협안성교육원 교수.jpg
▲ 전성군 전북대 겸임교수

농업은 미래 전략산업으로서 지속적인 성장을 꾀해 젊은이들이 돌아오도록 하고, 나이 드신 분들은 농촌에서 편안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복지 농촌이 될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하지만 농산업의 현실은 녹록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걱정 없이 농사 짓게 해 달라. 제발 제 값 받게 해 달라. 지속가능한 농업시스템을 구축해 달라. 이런 게 농업인들의 한결같은 바람이다. 최근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농업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인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4차 산업혁명시대 새로운 농정혁신 전략인 공동체 중심의 ‘공유농업’이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공유농업이 탄생한 것은 1960년대 초에 독일과 스위스, 그리고 일본 등에서 식량에 대한 안보와 농촌의 급격한 도시화에 대한 반작용 때문이었다.

공유농업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농산물 생산·유통에 참여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소비자의 먹거리에 대한 불안 해소 및 농업인 소득창출을 위해 사회적 경제를 바탕으로 한다. 그동안 생산자와 소비자 간 신뢰가 하락해 먹거리 불안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측면이 많았다. 또한 불필요한 유통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농업인이 판매하는 비용은 낮은데 비해 소비자 구매 비용이 높은 현상이 발생해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자가 농장을 소비자와 공유해 농산물 생산에 소비자가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생산·유통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 시스템은 안정적인 농장의 운영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식품을 지역사회에서 공급받고, 주로 유기농과 생물역학농법(biodynamic farming)으로 재배를 하며, 멤버십을 기반으로 마케팅을 하기 때문에 비용도 크게 절약되고, 환경에도 크게 유리한 장점이 있다.

우선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생산자는 플랫폼을 통해 연결된 소비자와 농장을 공유해 농산물 생산·체험 등을 함께해서 해결해야 한다.

 소비자는 소정의 농장 공유 대가를 농업인에게 지급해 영농자금으로 활용하고 생산된 농산물을 가져가고 자신과 가족이 먹을 농산물 생산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믿을 수 있는 먹을거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비자가 생산품목과 재배방법을 농가와 함께 결정하는 등 소비자 맞춤형 계획 생산을 통해 농가는 판로 확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외국은 한참 앞서가고 있다. 미국은 지역사회공유농업(CSA)이라는 이름으로 농업과 음식의 분배 모델을 추구하는 사례가 많다. 여기에는 개인들이 네트워크를 구성해서 농장을 지원하고, 직접 농사에도 참여하는 동시에 소비자의 역할도 담당해 위험분산 및 생산의 이익도 함께 누린다. 현재 3만여 개에 이르는 농장이 지역사회 공유농업 농장으로 분류된다.

영국은 조합의 주도로 소비자들과 온라인으로 회원 등록을 하고, 연회비도 내면서 의사결정에 참여하면서 농장을 체험하는 시스템이 있다.

유럽은 소비자들과 농부들이 협력적인 파트너십을 맺고, 농장에 펀드를 지원한 것이 시초다. CSA는 정형화돼 있다기보다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연간 정해진 기간 동안 다양한 제품들을 전체적으로 적당한 예산으로 투명하게 지원하고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적절한 가격을 결정하기 위해 농민과 소비자가 직접 협상을 하고, 민주적으로 예산을 결정하며 위험과 보상을 나눠 갖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경기도와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도시농업과 남양주 등에서 도시와 농촌의 교류를 이용하는 팜시티(Farm City) 등이 그런 맥락의 사례다. 이런 지역사회 기반의 공유농업이 전체 농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미미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제 막 실험을 시작한 수준이다. 그렇지만, 미래가 요구하는 농업의 모델과 FTA 이후의 우리나라 농업을 살릴 수 있는 방법으로서 지역사회기반의 공유농업은 우리에게 많은 가능성을 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