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에서 학교의 빈 공간을 활용한 주민 개방 프로그램이나 노인 및 장애인 돌봄교실, 영·유아 보육시설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지만 유휴 시설이나 교실 활용은 쉽지 않아 보인다.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원도심 학교의 학생 수 감소로 인해 학급 수가 2010년에 비해 800여 개나 줄어들면서 각급 학교에는 빈 교실과 강당, 기타 시설 등이 남아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으나 정작 유휴 교실은 없다고 한다. 유휴 교실을 교육과정의 일환에 따라 특별실 등으로 사용하고 있어 학교 현황에는 남는 교실이 없다는 얘기다.

인천시교육청이 유휴 교실 활용을 위해 지난달 인천시 등과 ‘마을공동체 어울터 조성’ 협약을 맺으며 학교 내 빈 공간 활용의 물꼬를 텄다고는 하나 여유 있는 학교시설 활용은 기본적으로 학교장 재량인데다 이미 교육과정에 따른 특별실로 이용하고 있어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더욱이 정부는 지난 2월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초등학교 유휴 교실을 국공립어린이집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내용 등을 담은 ‘학교시설 활용 및 관리 개선방안’을 심의·확정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방안도 학교의 여건이 고려돼야 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맞는 교육환경이 제공돼야 한다. 기초학습이 부진한 학생들에게 개별 학습을 할 수 있는 공간과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취미가 비슷한 학생들끼리 모여 소질을 계발할 수 있는 공간도 필요하다. 질 좋은 공공보육시설 역시 필요하지만 단순히 통계수치와 이론만으로 재단할 일은 아닌 듯하다. 정작 보육시설이 부족한 지역은 남는 초등교실이 없고, 교실이 남아도는 지역에는 영·유아가 별로 없다. 도리어 보육시설보다 특수학급 마련이나 병설유치원 증설, 초등 종일돌봄교실 확대 등이 더 시급하다.

초등 유휴 교실은 초등교육의 목적에 맞게 사용돼야 하고, 중등 유휴 교실은 중등교육의 목적에 맞게 사용돼야 마땅하다. 유휴 교실을 활용하려면 공간 조성은 물론 안전문제와 행정업무 등도 종합적으로 고려돼야 한다.

 학교장의 자율권을 인정해 주고 교원들이 신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면 학생들의 소질도 계발되고, 유휴 교실도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학생들의 요구와 소질을 파악하고 학교장과 교직원들이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자율적으로 유휴 교실 활용 방안을 수립·시행하도록 해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