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깜깜이 선거판’이란 오명 속에 6·13 지방선거가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당선을 위해 노심초사하며 달려온 당선자에게는 축하를, 낙선자에게는 위로와 격려를 보낸다. 지방선거는 지역의 일꾼을 뽑는 선거다. 하지만 남북회담·북미회담, 드루킹 댓글 논란 등 대형 이슈에 휩쓸려 지역일꾼을 뽑는 본연의 의미가 반감되면서, 온전히 지역의 참신한 공약이나 정책 위주 선거가 돼야 할 지방선거가 중앙 정치의 대리전 양상을 보였다는 점에서 크게 아쉬움이 남는 선거가 되고 말았다.

 이번 선거 기간 내내 후보자들은 목이 쉬도록 한 표를 호소했으나 문재인 대통령 바람과 북미정상회담 등 대형이슈에 묻혀 유권자들의 관심과 반응은 마냥 싸늘했다. 가장 큰 요인은 전언론의 포커스가 선거보다 북미정상회담으로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과 세기의 만남에 집중되면서 모든 이슈가 블랙홀처럼 빨려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다양한 네거티브 선거전이 벌어지면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공약·정책 검증이 부실한 선거로 남게 됐다.

 선거는 끝났다. 이제부터는 서로 갈등을 봉합하고, 화합과 상생의 길로 나가야 한다. 당선자도 낙선자도, 승리한 정당도 패배한 정당도 대결의 정치를 끝내고 화합의 정치에 나서야 한다. 정신 줄 놓고 여전히 대립만을 일삼다가는 서로 간의 상처와 앙금, 국론분열, 국가적 에너지 낭비를 피할 수 없다. 정치권은 새로운 번영과 출발을 위해 선거 결과에 연연하기보다는 지방자치의 새 출발을 위한 분명한 개혁 프로그램을 제시해야 한다. 북핵문제 해결, 경제 살리기, 사회적 갈등 해소 등 난제 해결을 위해 국익과 민의에 부합하는 길은 승패와 관계없이 희망과 통합, 상생의 장으로 전환해야 한다.

 오늘날 우리나라 정치판이 엉망인 것도 엄밀히 따지면 국민들이 선택을 잘못해 좋은 재목을 가려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국민들이 정치권의 감언이설에 속거나, 이해득실에 눈이 어두워 올바른 선택을 하지 못했다면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은 유권자에게 있다. 풀뿌리 민주주의 토착화를 위해 시행된 지방자치 제도가 정치권의 당리당략을 위한 노름판이 돼서는 아니 될 것이며, 선거 이후 편가르기 세력화에 부심해서도 안 된다. 원칙과 명분 아래 지지자와 반대자 모두를 포용하는 큰 틀에서 지방자치를 기대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