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공사는 인천에서 하는데 인천 업체 수주율이 낮으니까 지역 경제성장으로 제대로 이어지지 않는 거죠." 이종인(65)인천건설자재협의회 실무위원장의 하소연이다.

 검단신도시 등 인천에서 연간 12조 원 규모의 건설공사가 벌어지고 있지만 건설자재를 만드는 지역 제조업체의 수주율은 턱없이 낮다. 지역 경제계에서는 인천 업체의 하도급 수주를 확대하기 위해 인천시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얘기가 많다.

 29일 인천건설자재협의회 등에 따르면 인천지역 건설자재 제조업체는 8천 개 사로 추산된다. 지역 자재 제조업체들은 지역에서 하는 건설공사에 제대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인천지역 건설 관련 업체들의 다른 지역을 포함한 총 하도급 금액은 2조9천214억 원이었다. 이 중 인천지역 공사를 통한 하도급 금액은 6천101억 원으로 20.9%에 불과했다.

 인천 업체의 지역 공사 참여 비율이 낮은 것은 시공사가 지역 업체를 외면하기 때문이다. 대형 건설사들은 ‘인천 업체를 쓰려면 우선 우리의 협력업체로 등록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평가기준이 까다로운데다, 서울과 경기지역 업체와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수주를 따내기란 쉽지 않다. 지역 업체 수주를 강제할 규정도 없다.

 구월동 농산물도매시장 이전 공사의 경우 인천종합건설본부와 시공사인 ㈜한양은 지난 1월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협약’을 맺었다. 하지만 토공사(흙을 쌓거나 파는 일)는 서울 업체가 수주했고, 강구조물 공사도 외지 업체가 따냈다.

 지자체의 지원도 미흡하다. 인천지역 대형 공사 현장을 찾아 지역 하도급 업체를 써 달라고 ‘하도급 세일즈’를 하는 시 공무원은 1명에 불과하다.

 반면 부산은 ‘지역 건설경제 활성화 전담팀’을 만들어 5명이 일한다. 대구시와 대전시도 ‘하도급 지원 태스크포스(TF)’가 있고, 경기도는 조례를 통해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실무위원회’를 만들었다. 때문에 인천도 전담팀을 만들어 지역 업체 수주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인천상공회의소는 지난 25일 시청에서 열린 ‘민생 규제 현장 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건의사항을 전달했다. 인천상의는 건설자재 제조업체의 지역 공사 참여가 높아지면 8천 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생긴다고 내다봤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건설자재 제조업체의 경우 지역 공사 참여가 활성화되면 건설직 같은 일용직이 아니라 실질적인 고용 증가로 이어진다"며 "인천도 전담 부서를 하루빨리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덕현 기자 kd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