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순휘.jpg
▲ 장순휘 청운대 교수
지난주 북한이 정전협정 체결 65주년인 27일에 미군 유해 55구를 미국에 인도했다. 뉴스의 초점이 68년 전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의 공산화를 막기 위한 참전 과정에서 희생당한 미군 실종 장병에 대한 고귀함보다 북한에게 아무런 대가 없이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 합의사항을 이행하는 것이라는 정치적 관점으로 보도됐다.

 트럼프 정부도 ‘영웅들의 귀환’이라며 정치적으로 활용하는데 열을 올리는 것을 엿볼 수 있다. 혹시 이런 감상적인 정치쇼에 위대한 군인들의 영령이 상처를 입지 않기 바란다. 다행스럽게도 8월 1일 북한으로부터 인도 받은 유해를 하와이에 있는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으로 옮기는 공식 귀환식을 갖는다. 또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 지시에 따라 하와이에서 유해를 맞이하는 국가적 예우를 거행한다니 멋진 나라다. 이번 기회에 한국전쟁과 관련해 수정해야 할 공식적인 내용이 있다. 그것은 바로 참전국의 전사상자 통계 수정이다.

 우선 미국방성 인적자원 통계센터(Defense Manpower Data Center)의 공식 통계자료를 분석해보면 수정해야 할 당위성을 발견하게 된다. 먼저 우리 측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자료를 보면 ‘한국전쟁 인명피해 현황’에서 미군 전사/사망자 3만6천940명, 부상자 9만2천134명, 실종자 3천737명 및 포로 4천439명으로 총13만7천250명으로 공식집계하고 있다.

 그러나 미 국방성 인적자원 통계센터의 2008년 5월 16일자 공식 발표 최종현황을 보면 차이가 심각하게 많이 난다. 미 공식통계의 한국전쟁 미군 전사자는 ‘망라 기간을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까지로 하고, 전쟁 기간 중 부상해 그 부상으로 인해 추후 사망한 경우와 전쟁기간 중 사건사고에 연관돼 후에 사망으로 확정 발표된 인원’으로 한정하고 있다. 쉽게 얘기해서 전쟁 시에 부상을 당해 본국으로 후송했다가 사망한 경우에도 당연히 한국전쟁 전사자로 일관성 있게 집계했다. 유해(遺骸)가 없더라도 전투 중 실종자를 사망으로 집계한 것도 합리적인 처리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미국 측 공식통계는 전사자를 5만4천246명으로 종합 집계했고, 반면에 한국 측은 3만6천940명으로 그 차이가 1만7천306명이 나고 있다.

 실종자 3천737명을 미국 측은 전사자로 포함하는 집계 처리했고, 반면에 한국 측은 실종자로 보고 있다. 따라서 이번에 미군 유해 55구의 귀환으로 실종자는 3천682명으로 바뀌고, 전사자도 5만4천301명으로 변경되겠지만 한미 간 전사상자 통계 착오는 정확하게 수정할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미군 실종장병 중 55명의 영웅들이 귀환하는 데 대한민국은 국가적 예우를 반드시 표해야 한다.

 2013년 3월 개정된 ‘상훈법’을 적용해 볼 때 ‘직접 참전하여… 헌신분투한 자’에게 주어지는 ‘3등 무공훈장(충무)’ 또는 ‘전시, 사변… 비상한 공로가 있는 자’에게 수여할 수 있는 ‘4등 무공훈장(화랑)’을 영전에 추서해 그 죽음을 기릴 것을 강력하게 건의하고자 한다. 그들은 한국전쟁에 참전해 목숨을 바쳤고, 아군의 작전과 승리에 크게 기여한 자로 대한민국 국민의 진정한 감사와 명예를 전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훈장이 수여된다면 미군장병들의 가족에게 전해지면서 그들은 대한민국과 한국민이 보내는 위로를 느낄 것이다. 한국전쟁 시에 우리가 북한공산군의 침략을 받아 국가존망의 위기에 있을 때 미국은 가장 신속히 미군을 참전시켰다. 워싱턴 ‘한국전 참전 기념공원 비문’에는 "미국민은 결코 만난 적 없었던 사람들이며, 결코 알지 못했던 나라를 지키기 위해 나라의 부름에 응답했던 우리의 아들과 딸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라고 새겨서 한국전을 기념하고 있다. 다른 나라의 전장터에서 소중한 생명을 바친 아들딸을 생각한다면 어느 나라와 부모가 슬프지 않겠는가? 미군뿐만 아니라 참전국 희생 장병 누구에게나 대한민국은 반드시 훈장으로 그 위대한 희생을 기려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