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사진 = 남동산단 전경. /기호일보 DB
인천 바이오산업은 확대 추세지만 정작 관련 중소기업의 입지는 쪼그라드는 형국이다.

바이오 대기업과의 기술 격차, 자금난, 전문인력 부족 등 지역 바이오산업이 해결해야 할 숙제가 풀리지 않는 한 이 같은 현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7일 인천중소벤처기업청과 인천테크노파크(인천TP) 등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인천의 전체 수출 규모에서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비중은 3.2% 정도를 차지했다. 2013년 0.3%에 불과했던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증가세다. 이는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지역 바이오 대기업의 수출물량이 기여한 바가 크다.

하지만 지역 바이오 중소기업들의 상황은 정반대다. 뛰어난 기술력에도 자금 조달이 힘들어 지속적인 연구개발(R&D)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다 보니 늘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 지역 바이오 중소기업계의 현실이다.

남동인더스파크에 입주한 A사는 기술 개발 및 설비 투자를 위한 자금 마련에 실패해 1분기 마이너성장을 기록했다. A사는 대기업에 밀려 시장에서 설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 내 B사 역시 자금난에 임대료도 못 낼 처지에 놓였다. B사는 경영상 어려움으로 사업 존폐까지 고민 중이다.

이들은 다양한 기술 개발을 위한 자금 조달이 힘들어 창업 후 가장 어려운 시기인 ‘데스밸리(Death Valley)’를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지역 바이오 중소기업을 위한 지원책은 턱없이 부족하다. 지원금도 최대 2천만 원에 불과하다. 기업들의 요청 사안에 따라 지원액이 500만 원에 그치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특히 중복 지원은 불가능해 사업을 이어 가기가 힘든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자금력 부족으로 기술 격차는 더더욱 심화되고 있다. 차별화된 기술력이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얘기다. 또 자금력 부족은 바이오 전문인력 확보에도 영향을 주는 등 악순환만 되풀이돼 결국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구조로 내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해당 중소기업의 대표는 "자금력 부족에 수익구조 악화로 사업 초기 받은 대출을 상환하지 못해 어려움에 처한 기업들이 상당수에 이른다"며 "바이오산업 특성을 감안해 창업·중소기업의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시와 지원기관 등이 전략적으로 나서야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시장에서 공존하는 진정한 바이오 클러스터가 형성될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인천TP 관계자는 "바이오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있지만 아직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앞으로 중소기업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늘려 가겠다"고 말했다.

조미르 기자 jm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바이오산업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