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호.jpg
▲ 박세호 인천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선임연구원
인천에서는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많은 수의 뿌리산업 기업들이 경영활동을 한다. 이 중에서 기계산업 분야는 전통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해 오면서 지역경제를 이끌어 왔다. 하지만 그들의 최근 경영상황은 한국지엠 사태 등과 맞물려 녹록지만은 않다.

 인천상공회의소와 인천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가 매년 실시하는 정기수요조사(1천200개 기업 표본) 결과를 중심으로 인천 기계산업 분야를 보면, 2018년 사업장 수와 종사자 수 기준으로 전 산업에서 가장 높은 비율(총 8천445개 사 중 2천862개 사, 종사자 총 26만9천21명 중 8만7천839명)을 차지했고 그 중에서도 ‘금속가공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 분야 사업장 2천862개 사 중 1천528개 사가 금속가공업을 영위하고 있다.

 하지만 기계산업 분야의 사업장 수와 종사자 수는 최근 3년 중 최저 수준이며, 구인인원과 실제 채용인원 또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기업당 평균 2.4명 구인에 2.2명 채용 수준이다. 같은 기간 채용인원 대비 역량 부족 인원 비율(8.01%)과 전체 퇴사자 중 1년 미만 근속자 비율(40.8%) 역시 최고로 집계됐다.

 절대적인 지표가 될 수는 없겠지만 인천의 기계산업 분야 규모 관련 지표의 감소 추세와 근로자들의 적응 관련 부정적 지표의 증가 추세로 볼 때 해당 산업 분야의 경기 위축이나 경영상 어려움을 예상하기에 충분하다. 인천의 기계산업 분야는 사업장 수와 종사자 수가 줄어드는데, 그나마도 남은 인력들의 역량 부족은 심각해지고 이직은 증가하고 있다.

 인천 기계산업 분야 기업들에게 다른 어려운 상황이 있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이슈다. 물론 현실적으로 납품기한 지키기와 불량률 개선에 허덕이는 중소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정기수요조사 결과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인식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계산업 분야 기업은 13.9%로 전 산업 분야의 인식 기업 비율(14.3%)보다 낮았다. 4차 산업혁명의 영향력은 매우 클 것이라고 인식하면서도(41.1%) 이에 대한 대응이나 준비는 미비(17.6%)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계산업 분야 기업들 중 절반 이상이 4차 산업혁명의 의미가 무엇인지는 모르겠으나 그 영향력은 클 것 같아 두려워하고 있으면서도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모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계산업 분야 기업 954개 사가 존재하는 것은 다행이다. 인공지능 로봇 등 신기술을 도입해 생산효율성과 매출 증대를 기대하고 있다.

 종합해 보면 인천 기계산업 분야는 영세성 및 열악한 근로 여건 등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어려운 상황 요인과 현재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불확실한 상황 요인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안은 있다. 그 첫 번째가 직업훈련이다. 최근 고용을 위한 투자 중 간접투자에 해당하는 직업훈련 사업이 위축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여러 고용 관련 직접투자와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정확한 비교가 필요하겠지만 직업훈련의 축소는 구직자의 취업 가능 범위를 줄이며 실무에 필요한 업무 역량 획득 기회를 뺏는다. 한편으로는 힘들게 취업에 성공한 근로자가 부족한 업무 역량으로 인해 빠른 이직으로 내몰리는 원인이 된다. 이런 경우 기업들은 채용 비용이 증가하고 근로자의 직무 숙련 형성이 늦어져 경영에 어려운 상황이 가중된다. 정부 차원의 고용 간접투자가 줄어들었다면 지자체 차원의 확대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종사자들의 업무 역량 강화와 장기 근속 유도는 지역 내 산업과 노동시장 활성화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기업지원제도이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주 52시간제와 최저임금제를 고려한다면 기업이 직업훈련에 근로자를 참여시킬 수 있는 실효적 지원제도가 새롭게 마련돼 직업훈련과 동시에 제공돼야 한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자 하는 기업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원제도가 필요하다. 각 상황에 적합한 신기술 도입과 업종 간 융합을 가능하게 하고, 이것이 매출 증대로 이어지도록 판로 개척을 돕는 규제 개선 등의 지원제도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앙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기업들의 고용 증대와 활성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인천 역시 정부와 서로의 제도 및 계획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직업훈련과 기업지원제도의 유기적 시행을 추진한다면 인천 기계산업 분야 기업들이 어렵고 불확실한 경영상황을 풀어나갈 수 있는 실마리가 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