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강 대(對) 강 대치 상황이 절정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인천시가 국제 교류의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해 신남방 정책을 추진한다. 핵심 국가는 베트남과 인도가 될 전망이다.

인천시청 전경.jpg
▲ 인천시청 전경. /인천시 제공
7일 시에 따르면 지난달 정부의 신남방·신북방 정책과 연계한 교류 활성화와 실익 위주의 협력 증대 전략 방안 마련을 위한 ‘인천시 신남방·신북방 종합 추진계획’을 확정했다. 미국·중국·러시아·일본 등 주변 4대 강국 중심의 교역을 넘어 시장을 다변화한다는 목적이다.

특히 지난해 인천지역의 G2(미국·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비율이 41.5%에 달하는데다 일본 역시 인천의 3위 수출입국이라는 점에서 의존도가 중국과 미국 못지않는 등 다변화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일부 특정 국가에 대한 수출입 의존도가 높으면 정치·경제·사회적 여건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다, 이번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처럼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는 신남방국가 11개국과 신북방국가 13개국 가운데 베트남과 인도를 유망 신흥시장으로 꼽았다. 인도-아세안 지역은 총인구가 19억5천여 명에 달하고 총GDP 5조3천억 달러, 연평균 경제성장률 5.6%를 기록하는 등 성장 잠재력이 크다.

시는 지난해 인도-아세안 지역에서 9차례 해외 전문 전시회를 열고, 5차례 시장개척단 방문을 진행하는 등 본격적인 사업 확대를 위한 사전 작업 단계에 돌입했다.

베트남은 성과 도출을 위한 사업 추진 우선 대상국이다. 신남방국 중 시와 교역·인적 교류 최다 국가이다. 교역 비중이 2017년 6.4%에서 지난해 7.2%로 늘었고, 인천 거주 베트남 국적자는 6천679명으로 중국 국적자 다음으로 많은 인구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정치·치안 환경이 비교적 안정적이고 6%대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최근 불고 있는 한류 붐을 바탕으로 문화·관광 분야에서 큰 힘을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인도는 카스트 제도와 복잡한 노동법, 열악한 인프라 등 아직 불안한 사업 환경을 가지고 있지만 철저한 준비가 선행된다면 잠재력이 매우 큰 곳으로 꼽히고 있다. 13억6천만 명의 인구대국으로 시장을 선점한다면 ‘규모의 경제’ 실현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게다가 산업구조가 1차 산업에서 3차 산업으로 급격히 넘어가며 공산품은 부족하고 문화산업이 급성장했다. 높은 관세가 부담스럽지만 차후 지역 제조업체와 문화 종사자들에게 희망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의 지리적 여건과 항만·공항·경제자유구역 인프라 등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겠다"며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등 중앙부처와 정보를 공유하고, 시너지 창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채널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원석 기자 stone@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국제교류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