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고령화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북녘의 가족을 찾고 싶다고 신청한 사람 10명 중 6명은 이미 세상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PYH2018082612020001300.jpg
▲ 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2회차 마지막날인 26일 북한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작별상봉 및 공동중식을 마치고 버스에 오른 북측 가족들이 남측 가족들과 헤어지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연합뉴스
 13일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가 공동 운영하는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1988년부터 올해 8월 말까지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중 사망자는 총 7만9천46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상봉 신청자(13만3천353)의 약 59.6%다.

 같은 기간 생존자는 5만3천887명(약 40.4%)에 그쳤다.

 원래 과거에는 이산가족 신청자 가운데 생존자 규모가 압도적으로 더 많았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사망자 수가 점차 늘었고, 2016년 2월 말을 기점으로 사망자(당시 6만5천922명)가 처음으로 생존자 규모(6만4천916명)를 추월했다.

 이후 해를 거듭하면서 사망자와 생존자 규모 간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다.

 올해만 하더라도 1∼8월 기준 2천245명이 세상을 떠났다.

 이런 추세는 이산가족들의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더 심화할 전망이다.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상봉 신청자의 연령대를 보면 80∼89세가 40.5%로 가장 많다.

 이어 90세 이상(23.3%), 70∼79세(21.9%) 60∼69세(8.0%), 59세 이하(6.3%) 순이었다. 이산가족 10명 중 8명 이상(85.7%)이 70대 이상인 셈이다.

 지난해 남북 화해 무드가 본격 조성되면서 약 3년 만에 8·15 계기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치러졌고, 9월 평양 정상회담에서는 상설면회소 개소, 화상상봉 및 영상편지 교환 등에 합의하면서 이산가족들의 기대감도 커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여파로 남북관계 소강국면이 이어지면서 사실상 별다른 진전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그간 정부는 이산가족 문제를 최우선으로 해결해야 할 시급한 사안으로 인식해 왔으며 평양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노력도 구체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정부는 남북 간 협의를 통해 평양공동선언의 구체적 이행을 비롯해 생사 확인, 고향 방문 등 이산가족 문제를 조기에 해결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