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에 아파트가 들어선 지 반세기 가까운 시간이 지나면서 건축된 지 30년도 넘는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다. 단독주택과 달리 아파트는 적게는 수십 가구에서 많게는 수백 가구까지 살기 때문에 사고가 나면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져 특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본보는 총 4차례에 걸쳐 도내 노후 아파트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고 대안을 제시해 본다. <편집자 주>

지난달 수원시 권선구 한 아파트단지에서 발생한 균열.▶ 균열이 발생한 부위를 공무원이 살펴보고 있다.  <수원시 제공>
지난달 수원시 권선구 한 아파트단지에서 발생한 균열.▶ 균열이 발생한 부위를 공무원이 살펴보고 있다. <수원시 제공>

지난달 18일 수원시에서 준공된 지 28년 된 노후 아파트에서 건물 외벽에 균열이 생겼다는 신고가 관할 소방서에 접수됐다. 건물 콘크리트 덩어리가 주차장 바닥에 떨어질 정도로 외벽 균열이 생겼다는 내용이다.

즉각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소방당국은 이러한 내용을 시 재난상황실에 전파했으며, 시는 외부 전문가를 대동해 현장을 확인했다. 진단 결과 1∼2호 라인 벽체와 정화조 배기구조물을 연결하는 철물 4개가 끊어지면서 5∼15㎝ 틈이 벌어져 있는 상태였다.

1991년 지어진 이 아파트는 총 15개 동에 1천680가구가 살고 있으며, 문제의 구조물은 이번에 균열이 생긴 15동에만 설치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아파트 주민들과 협의해 균열이 발생한 구조물 철거를 결정한 후 해당 라인 주민 90여 명을 대피시켰다. 이후 4일 동안 200t급 크레인 1대와 50m 높이 고소차(高所車) 2대, 인부 20여 명을 동원해 철거 작업을 진행한 끝에 작업을 완료했다.

시는 이번 기회에 해당 아파트와 같은 공법으로 지어진 관할 지역 아파트 단지 6곳에 대해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특별정밀진단을 진행하기로 했다. 또 추가적으로 다른 노후 아파트들 역시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처럼 도내에 아파트가 보급된 지 반세기 가까이 지나면서 노후 아파트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18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최초의 공동주택은 1970년 광명시 광명4동에 건립된 광명아파트다. 대한주택공사(현 LH)에서 총 공사비 11억5천만 원을 들여 건설한 서민아파트로, 총 4만2천975㎡에 지상 5층짜리 24개 동(1천 가구)을 지었다. 현재는 같은 자리에 한진아파트로 재건축됐다.

이후 1970∼1980년대에 한국 경제성장과 함께 아파트 보급이 이뤄지고, 1990년대 신도시 건설사업이 추진됐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도내에서 주상복합 형태를 포함한 아파트 단지는 총 6천525곳(4만1천264개 동, 287만2천792가구)이 들어서 있다.

이 중 준공된 지 16∼20년 된 아파트 단지는 868곳(5천927개 동, 46만4천831가구), 21∼25년은 1천195곳(8천312개 동, 59만8천54가구), 26년 이상도 1천674곳(6천81개 동, 30만5천2가구)에 달한다.

문제는 노후 아파트가 갈수록 재난안전에 취약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경기도와 경기도시공사가 2017년 한국주거학회에 의뢰해 실시한 ‘노후 공동주택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용역’을 보면 도내 노후 아파트 가운데 89.4%가 가구 수가 적은 ‘비의무 관리대상’ 단지여서 주민들의 안전 및 주거환경 개선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도 관계자는 "일정 규모 이하 건축물의 경우 안전점검 비용과 보수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며 "위험등급에 따라 안전특별점검단을 통해 정기적으로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종현 기자 qw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노후 아파트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