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에 가출청소년을 보호하고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전문 쉼터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청소년 전문가들에 따르면 매년 집을 나와 거리를 떠도는 청소년은 전국적으로 20만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 중 70%는 거리에 방치된다고 한다.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이 지난해 말 발간한 ‘경기도 청소년거점쉼터 설치 및 중장기 운영방향’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정확한 수치는 아니지만 도내에서 약 3만6천여 명의 청소년이 가출을 경험한 것으로 추정했다. 청소년 쉼터는 일시 보호 및 숙식 제공, 상담과 선도, 직업훈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가출청소년을 보호하고 다시 학업의 길로 돌아갈 수 있도록 유도한다. 문제는 해당 가출청소년이 입소할 수 있는 쉼터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도내 청소년 쉼터는 30여개소가 운영되고 있고 총 입소 인원은 384명에 불과하고, 그나마 1∼5곳씩 가출청소년 쉼터를 운영하는 지자체도 있지만 전무한 시·군도 상당수에 달한다. 그러다보니 쉼터가 없는 지역은 가출청소년이 발생하면 다른 지역으로 안내해 주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특히 가출 청소년들은 주로 인터넷 카페나 스마트폰 채팅 앱을 통해 가출팸을 구성하는데 정작 이들은 정작 쉼터를 찾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거리를 떠도는 가출 청소년들은 범죄에 무방비 노출되기 마련이다. 이들은 생활비와 유흥비 마련을 위해 절도를 시도하거나 조건만남 등 성매매에 빠지기도 한다. 상황이 이런데도 도내 가출청소년을 발굴·관리하는 기구는 한 곳도 없다. 지자체는 가출청소년 쉼터에 이를 떠맡기고 있으며, 경찰도 청소년 선도활동에서 발견한 가출청소년을 쉼터나 지자체와 연계할 뿐 가출팸을 전담으로 발굴·관리하는 조직도 부재한 터여서 지자체와 경찰이 연계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갈수록 증가하는 가출청소년과 청소년범죄를 억제하기 위해 가출청소년쉼터 확대는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청소년쉼터의 과밀화로 학교 밖 청소년들이 소외받고 있어 확대가 매우 시급하다. 사회질서와 청소년보호를 위해 지자체에서 일정한 수 이상의 청소년쉼터를 개설 및 증설하는 강제 규정이 절실히 요구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