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인력난 완화를 위해 대폭 늘린 특성화고의 중기 취업률이 지난해 급격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가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중소기업 특성화고의 연평균 전체 취업률은 54.5%였고 중소기업 취업률은 45.5%였으나, 지난해 전체 취업률은 36.1%, 중소기업 취업률은 29.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성화고 수는 2014년 160개에서 지난해 200개로 늘었지만 정작 입학하는 학생 수도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중소기업의 경우 해마다 미충원 인원이 발생하고 있고 지난해에도 미충원율이 13%에 달할 만큼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으나 정작 현장중심의 인력양성을 목표로 하는 특성화고의 중소기업 취업률은 급격히 추락하고 있고, 특성화고의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신입생 모집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그대로 드러난 것이다. 문제의 핵심이 어디에 있든 당장 취업률이 이 지경으로 폭락했다는 건, 특성화 교육 정책에 잘못이 있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중소기업 특목고의 취업률 하락을 제고하고 중소기업 인력난을 완화시킬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그동안 특성화고 학생들의 현장실습에서 인권침해, 위험한 사고 등이 자주 발생함에 따라, 지난해에 정부는 기존의 파견형 현장실습 제도 대신 학습중심 현장실습을 도입하면서 현장실습생이 역대 최저치로 줄어들고 취업률도 함께 떨어졌다. 현장 실습 시기가 늦춰지고 기간이 줄면서 중소기업들이 특성화고 학생 채용 기피 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당장의 취업률에 연연하기보다는 취업의 질이 중요하다. 그래야 졸업 후에도 그 취업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고졸취업자는 대졸자에 비해 고용 불안과 저임금의 고통을 겪고 있다. 따라서 직업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을 제고하고 능력중심 사회 구현을 위한 교육외적 환경을 조성하는 일이 시급하다. 지자체와 기업, 학교가 협업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산업체의 다양한 수요에 맞는 균형 잡힌 인력양성체제와 개인의 만족도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의 지속적 개발과 이를 위한 시설투자, 그리고 학생에 대한 장학금 지원 확대 등 행·재정적인 지원책 마련을 서둘러야 할 때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