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운영하는 정보시스템이 행정 분야에 편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생활 분야 정보시스템과의 간극이 커 정보시스템을 활용하는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시는 23일 시청에서 전문가 및 관계 부서 공무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시 스마트도시계획(2020∼2024년)’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었다.

스마트도시는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도시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도시를 말한다. 시민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삶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하지만 스마트도시 서비스체계 구축에 필요한 정보시스템 운영 현황은 시민들이 원하는 분야의 관련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 내 총 304개의 정보시스템(중복 시스템 제외) 중 행정시스템이 93개(30.6%)를 차지한 반면 시민 수요와 연관성이 큰 교통은 37개(12.2%), 환경 25개(8.2%), 안전 34개(11.2%), 에너지 7개(2.3%), 의료·복지 11개(3.6%) 등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스마트도시의 취지와 목적에 맞는 최종 서비스 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정보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행정 분야 쏠림 현상을 막고 삶의 질과 연관성이 큰 분야의 정보체계를 추가로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전문가들은 스마트도시의 핵심이 각종 정보시스템을 연결한 통합센터 설치 및 운영이라는 의견을 내고 있다. 교통·건물 등 도시 인프라에 전자 데이터 수집 센서를 부착하고 통합시스템에 연결해 문제 발생 시 신속히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신도시로 구분되는 인천경제자유구역에는 국내 최고 수준이라 평가받는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가 있는 데 반해 원도심은 각 군·구마다 센터를 운영하면서 효율성이 떨어지고 신속 조치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제기가 끊이지 않고 있다.

오명택 한국토지주택공사 스마트도시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스마트도시 서비스 상용화의 성공 여부는 실제 사용자인 시민들이 얼마나 쉽게 접근하고 많이 이용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지자체가 시민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도출하고, 이를 통해 개발자와 소통하면서 규제 완화 등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이달 초 118명의 시민참여단을 구성했고, 지금처럼 시민 설문조사와 설명회, 포럼 등을 열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며 "연말까지 수립할 스마트도시계획이 2020년 이후 추진될 사업들의 가이드라인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보고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장원석 기자 stone@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