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공유자전거. /사진 = 수원시 제공
수원시 공유자전거. /사진 = 수원시 제공

경기도내 지자체들이 공유교통을 앞다퉈 도입하고 있지만 미흡한 도로 여건과 부족한 시민의식, 함께 사업을 이끌어 가던 해외 파트너의 시장 철수 등으로 정착에 난항을 겪고 있다.

6일 경기도와 일선 지자체 등에 따르면 도내에서 가장 활발히 공유교통이 시행되고 있는 분야는 카셰어링과 공유자전거다.

카셰어링은 필요한 시간만큼 돈을 지불하고 차를 빌려 쓰는 서비스다. 국내에서는 2009년 군포지역에서 시민사회단체가 전국 최초로 시작했지만 운영상 어려움으로 2년 만에 사업을 접었다. 이어 수원시가 환경운동가 출신의 염태영 시장이 취임한 뒤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카셰어링 사업을 추진하면서 2013년 KT·KT렌탈과 렌터카를 이용한 카셰어링 서비스를 시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후 쏘카, 그린카, 씨티카 등 국내 카셰어링 운영업체가 사업에 진출하면서 내년에는 카셰어링 시장 규모가 5천억 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관공서에서도 카셰어링이 확산되고 있다. 도가 2016년 도민들에게 공용차량 무상 공유서비스를 제공한 것을 시작으로 올 2월 하남시도 ㈜쏘카와 공유차량을 관용차로 활용하는 업무협약을 맺는 등 카셰어링의 위상이 높아졌다.

하지만 손쉽게 빌려 쓸 수 있다는 카셰어링 장점을 악용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취약점을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수원에서는 2017년 2월 10대 4명이 부모 신상정보를 이용해 카셰어링 애플리케이션으로 차량을 빌린 뒤 친구들과 한밤 질주를 벌이다 신호 대기 중인 광역버스를 들이받는 사고를 내기도 했다. 버스 운전사와 승객 등 3명이 경상을 입었다.

공유자전거도 국내시장에 초창기 진출했던 해외 업체들이 잇따라 철수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전국 최초로 무인대여 공유자전거 서비스를 선보인 수원시는 지난해 1월부터 해외에 본사를 둔 공유자전거 운영업체 2곳과 업무협약을 맺고 야심차게 사업에 나섰다.

그런데 일부 시민이 공유자전거를 사유화하면서 사업 취지를 퇴색시킨데다, 1년여 만에 해당 기업이 국내에서 사업을 철수하면서 그동안 서비스를 애용해 왔던 시민들은 허탈감을 느껴야 했다. 수원시는 국내 공유자전거 운영업체와 손잡고 후속 서비스를 이어 나가기로 했다.

성남시는 올 3월부터 카카오 자회사인 카카오모빌리티와 손잡고 공유자전거 서비스인 카카오 T바이크를 도입하고, 시범적으로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600대를 배치했다.

도내 지자체에서 퍼스널 모빌리티(1인 이동수단)와 공유교통이 확산되자 도는 우선적으로 시민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대책을 수립하겠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현재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이 넓어지면서 사고도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좀 더 안전하게 다닐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우선 올해 예산이 반영될 경우 2억 원을 들여 주행 가이드라인이나 도로 주행 조건 확립 및 표지판 설치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종대 기자 pjd@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공유교통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