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시대에 맞춰 경기도내 지자체가 공유교통을 도입하기에 앞서 신중하게 지역 실정에 맞는 사업 모델을 분석한 뒤 추진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유행에 편승하듯 섣불리 시행할 경우 향후 지자체는 물론 시민들이 행·재정적 손실을 떠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전국 최초로 무인대여 공유자전거를 도입한 수원시는 그동안 업무협약을 맺고 함께 사업을 추진해 오던 해외 공유자전거 회사인 모바이크(Mobike)의 국내시장 철수 결정으로 새로운 사업파트너로 A사(社)를 결정했다. 시는 10월 한 달간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A사의 공유자전거 750대를 시내에 배치하고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시범운영 서비스를 실시했다.

하지만 A사의 공유자전거는 아직 자전거 차체에 대한 KC인증이 이뤄지지 않아 안전 검증이 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KC인증은 국가가 일정 기준을 통과한 제품만 시장에 출시하게 한 제도다. 또 전파 KC인증도 받지 못해 이용자들이 공유자전거 이용을 위해 필수로 설치해야 하는 앱을 이용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로 인해 시는 A사 공유자전거에 제기된 문제를 해결한 뒤 올해 말이나 늦어도 내년 초께 정식으로 서비스를 재개하기로 했다.

사고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자전거도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날 수원·화성·오산 등 3곳에 조성돼 있는 자전거도로를 둘러본 결과, 일부 구간의 경우 파손돼 있거나 적재물이 놓여 있어 자전거 통행이 원활하지 못했다.

한국항공대학교 교통물류연구소 류재영 연구교수는 "경제활동인구의 통행 패턴, 대중교통수단 네트워크의 분포 형태나 요금 수준 등 도시별 특성을 감안해 그 도시에 적합한 공유교통 수단을 적용하는 게 실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며 "다른 도시에서 성공했다 해서 진행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많아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 관점에서 기업의 생존력을 키워 줄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줘야 할 필요도 있다. 합리적인 가격 형성, 적절한 규제 완화, 정부 및 지자체의 행·재정 지원 등 삼박자를 갖춰야 한다는 얘기다. 이러한 조건이 수반되지 않으면 공유교통에 대한 시민 인식이 정착하지 못한 국내 도입 초창기에 시장에 도전장을 낸 기업이 자생하지 못한 채 문을 닫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김경환 교수는 "지자체에서 비즈니스 관점이 아닌 지역사회 교통·환경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시각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공유자전거 업체들이 지자체 지원이 끊기면 적자로 돌아선다"며 "중장기적으로 공유교통이 비즈니스 모델로 나아가려면 공유자전거 업체에 고객도 충분한 대가를 지불하고, 중앙정부나 지자체도 적정한 이익이 돌아갈 수 있도록 보조를 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종현 기자 qw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