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우 인천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김준우 인천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인천 스마트 시티 (Smart city) 사업은 2017년 중반 인천시의 송도경제청에서 시동됐다.

 유시티(U-city) 사업이 2003년 송도에 시작한 지 십여 년 만에 우여곡절 끝에 새롭게 간판을 바꿔 부활한 것이다. 언뜻 보기에도 별 차이가 없는, 정보기술 기반의 정보화 사업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물론 그 사이에 유시티나 스마트 시티 사업이 각 지방 도시에 유행처럼 번졌지만 말이다. 

 유시티사업은 글자 그대로 인터넷과 같은 첨단 정보기술을 활용해 도시생활의 편의성과 도시 행정의 효율성을 올리고자 하는 사업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 즉 인터넷이 의미하듯 도시 모든 것이 실시간으로 연결되는 기능을 이용해 유용한 서비스를 창출하자는 데 목적이 있다. 

 그래서 복잡한 원도심보다는 신도시 즉 백지에서 그릴 수 있는 송도 같이 신생도시가 적합했다. 

 당시 전국적인 부동산 호경기로 우후죽순처럼 짓던 아파트 건설비용 일부를 유시티 구축 기금으로 축적했다.  

 정작 문제는 아무도 이 엄청난 기금으로 무엇을 해야 할 지 몰랐다는 것이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 유시티 전문가나 유시티에 대한 명확한 정의도 없었을 뿐더러 실체가 없이 정치 구호 비슷한 형태였다. 

 이렇듯 유시티 정의부터가 모호한 만큼 이를 구현한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는 일이었다. 

 유시티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기금을 활용하려 했으나 마땅히 할 일이 찾지 못하고 고육책으로 CCTV를 도시 전체에 도배해 감시하는 관제센터를 세울 수밖에 없었다.

 이것이 그때 담당자들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고 가장 쉬운 해결책이었던 것이다. 사실 관제센터 역할도 경찰의 관제 조직과 중복되는 일이었지만 말이다.

 이 조직은 후일 경제청으로 이관돼 운영센터로 이름을 바꿨다. 이후 최근에 박남춘 시장이 원도심 개발을 위해 스마트 시티 사업을 언급했다. 

 원도심에 발달된 정보기술을 활용하면 좀 더 효율적인 그리고 쾌적한 도심을 만들 수 있지 않겠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한 것이다. 

 여기에 발빠르게 대학 등 관련 업체들이 움직이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해서는 전문가 누구도 선뜻 호의적이지 않다. 아직도 가장 중요한, 무엇을 어떻게가 빠져 있기 때문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